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뉴스
"
혈액
"(으)로 총 2,2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파 속 노인 건강 챙겨라①]한파에 뇌졸중 위험도↑, 예방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기온이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돼 혈압이 높아진다. 또한
혈액
점성이 높아지고
혈액
순환이 둔화되면서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다. 이런 증상이 지속되면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고혈압과 함께 뇌졸중을 일으킨다. 뇌혈관계뿐 아니라 심근경색, 부정맥 같은 심혈관계 질환 역시 마찬가지 ... ...
[새해 다짐 3종 세트 ③] 최선의 다이어트 원칙… “닥치고 적게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연소되기 시작한다. 반대로 급격한 운동은 지방세포로부터 에너지를 뽑아쓰지 않고,
혈액
과 근육 속에 있는 당에서 비상 에너지를 뽑아 쓴다. 이 에너지는 빨리 복구되어야 하기 때문에 심한 운동 후에는 크게 식욕이 당기게 된다. 그러나 가벼운 운동은 지방 세포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효소의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치매 연구, 20년 외길 '노폐물' 연구 떠나 다각도로 활로 모색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이해하려는 시도가 대표적이다. 아밀로이드 등 노폐물 단백질이 신장 등 다른 기관에서
혈액
을 타고 뇌로 이동하여 마치 좀비처럼 정상 단백질을 공격해 감염시키는 사례가 발견되면서 이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뇌 속을 지키는 경찰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도 이 과정에서 ... ...
동맥경화 발생과정, 혈관 구조 재현한 '오간온어칩'으로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혈관 내피세포의 생물학적 모습뿐 아니라
혈액
의 흐름을 재현했다”며 “특정 부위의
혈액
을 채취해 오간온어칩에 넣었을 때 생기는 면역세포의 양을 측정하면 동맥경화증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면역세포로 인해 비정상적인 혈관 벽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면 ... ...
자녀의 희귀암 함께 극복하는 엄마들
팝뉴스
l
2018.01.02
앓고 있어 서로에게 더할 나위 없는 의지의 상대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2016년 3월부터
혈액
암을 앓고 있는 리비의 엄마 코린은 하퍼의 엄마 코라에게 든든한 조언자이자 동지이다. 서로의 존재를 알게된 이후 메일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급속도로 가까워진 두 사람. 하퍼 엄마 코라는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인공 로봇이다. 미생물인 세균(박테리아)의 수십분의 1 크기로,
혈액
등 체액 안에서 자체 추진력으로 헤엄쳐 움직인다. 이때 외부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방향과 속도를 지정해 주면 암세포 등 목적지를 정확히 찾아가거나 공격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현재 의학 영상에 ... ...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론화, 인간배아 유전자 교정 성공…올해 달군 국내 과기계 10대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사용해도 끄떡 없는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화학연·고려대 3위
혈액
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예측하는 조기 진단기술 개발 서울대(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 4위 바이오시밀러 신약 글로벌 시장 진출 활기 한올바이오파마, 셀트리온 등 5위 사물인터넷(IoT) 기반 ... ...
“
혈액
암 환자에게 조혈모세포 기증하세요”…캠페인 나선 동갑내기 대학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혈액
암 환자의 치료에 꼭 필요하다. 이 씨는 “기증 서약을 위해서는 샘플로 소량의
혈액
을 뽑아야 하는데 15명 이상 모이면 기관에서 출장을 와 간편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안내 포스터를 만들어 학교 곳곳에 붙일 예정이다. 이 씨는 “우선 1월까지 기증자를 모으고 학기 중에도 모집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7.12.22
나노 소포체는 어떤 세포에서 나왔는지 알려주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소변과
혈액
에서 분리한 나노 소포체의 유전정보를 분석하면 어떤 미생물이 장 속에 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대장내시경 검사 권고검사를 받고 약 3주가 지난 뒤 결과가 나왔다. 분석 결과에는 낯선 미생물 ... ...
[카드뉴스] 박테리아 vs 항생제 내성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12.20
4명의 신생아가 숨진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 3명의
혈액
에서 시트로박터 프룬디(Citrobacter freundii)라는 세균을 검출했습니다. 특히 3명 모두 같은 CTX M-9형의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효소’(ESBL) 내성 유전자가 있음이 추가로 확인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그런데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