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8,0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광주과학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광주과학기술원 △R&D조정실 실장 이창열 △
인공
지능연구소 소장 안창욱 △에너지융합대학원 원장 김윤수 ...
얼음 뿌리고 차단막 설치하고...지구 식히는 공학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이밖에 바닷물을 이용해 해양 위에
인공
구름을 만들어 태양 빛을 반사하는 아이디어, 우주에 거대한 거울을 설치해 햇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고 햇빛을 우주로 반사해 지구의 온도를 낮추자는 계획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온다. 효과가 기대되지만 지구공학적인 ... ...
임신부 양수에서 태아 줄기세포 얻어 장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연구는 그동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인체의 장기를 모사해
인공
적으로 만드는 ‘
인공
장기(오가노이드)’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론적으로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이용해 원하는 오가노이드를 얻는다. 문제는 배아줄기세포나 iPS는 ... ...
영하 40도 견디는 현실판 '매머드' 나올까…코끼리 줄기세포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여러 유전자를 아시아코끼리 난자에 주입해 유전자를 교정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배아를
인공
자궁에서 자라게 해 세상에 나오게 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연구를 위한 코끼리 세포를 무한정 공급받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코끼리의 여러 신체 조직으로 발현할 수 있는 ... ...
타인 성체줄기세포로 만든 3D프린팅 '
인공
기관' 이식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최초의
인공
인체 장기 이식 임상시험 성공 사례”라며 “환자 맞춤형 3D 바이오프린팅
인공
장기 이식 실용화 기술 발전에 토대를 이루고 각종 난치성 질환에 대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과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오가노이드에서 배양한 줄기세포로 장 조직 재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연구진. 샘명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재생치료 등에서 수요가 높은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인공
장기인 오가노이드에서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손미영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인간 장 오가노이드에서 장 줄기세포를 농축 배양하는 기술을 ... ...
AI 거대언어모델 0.4초만에 처리…삼성 28나노공정으로 초저전력 AI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영수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연구성과는
인공
지능반도체가 NPU와 PIM을 넘어 뉴로모픽 컴퓨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제로 확인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합성생물학은 생명과학에 공학적 개념을 도입해 DNA, 단백질,
인공
세포 등 생명시스템을 설계·제작하는 기술이다. 한국은 지난 2022년 12월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에는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을 마련해 국가 차원의 육성을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봄학기 정규교육과정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신임 교원의 46%는 만 40세 이하의 신진 우수연구원이다. UST-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쿨
인공
지능 전공 윤영우 교수는 로봇이 사람의 몸짓 등 비언어적 행동을 보고 배워 상황에 맞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소셜 모션 AI 기술’의 우리나라 대표 연구자다. UST-KRIBB(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쿨 이혜원 ... ...
과학수사 업그레이드 실마리, 해파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데 이 단백질을 활용한다. 연구팀은 녹색형광단백질이 인간의 땀과 기름과 결합하도록
인공
적으로 합성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프레이는 부드럽게 분사되고 거친 표면에도 효과적으로 흡착됐다. 독성이 거의 없다는 점도 장점이다. 최근 각국 정부는 지문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많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