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 네트워크에 번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용하는데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 무선랜은 블루투스보다 통신거리가 길고 사용자에서
한계
가 없는 편. 워낙에 블루투스는 컴퓨터 주변 근거리 무선통신용으로 개발됐고, 무선통신 참여자로 7명으로 제한돼 있다. 대신 블루투스는 무선랜보다 저렴하다.이동 애드혹 망에 참여하는 이동통신 ... ...
세계 최대의 온라인 가상연구소 '이노센티브' 출범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식중개 채널이다. 현재 기업은 연구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연구자를 확보하는데
한계
가 있을 수밖에 없다. 반면 과학자 중에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지만 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접하지 못해 능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이노센티브가 유용한 통로가 된다.이노센티브는 의뢰자인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내려 1분에 약 3백m의 속도로 3.34km까지 올라갔다.풍선을 타고 오를 수 있는 고도의
한계
는 풍선이 얼마나 버텨주느냐에 달렸다. 그는 당초 4.5km까지 오르기를 기대했지만 풍선은 3.34km에서 터지기 시작했다. 풍선이 터지기 시작하면 더이상 높이 올라갈 수 없다. 이때부터 그는 지상으로 내려오기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바뀌면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한계
를 뛰넘는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와 사업들이 일어나고, 또 다른 방식의 만남들이 생겨난다. 새로 나온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응용제품을 실험하는 대규모 실험장도 바로 DMS가 될 것이다.모든 미디어가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어나는 진화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입장인데, 이것이야말로 다윈 진화론의
한계
를 보여주는 가장 극명한 예입니다. 지난번 다윈의 식탁에서 공룡 멸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6천5백만년 전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생명의 역사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상상해보자고 한 적이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정보는 많이 저장하고 있지만 인간의 명령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는 가상 공간의
한계
를 물리적 공간에 촘촘히 박혀있는 작은 컴퓨터와 센서로 극복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유비쿼터스 시대는 정보화의 최종 단계에서 시작된다.그렇다면 유비쿼터스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최 교수는 “컴퓨터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는 철이 우주에서 가장 안정된 물질이기 때문이다. 철로 구성된 핵의 질량이 어느
한계
를 넘으면 붕괴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된다.질량이 태양의 8-20배인 별은 초신성폭발을 일으켜 주위의 물질을 날려버리고 가운데 중성자별만 남긴다. 한편 질량이 태양의 20-40배인 별은 블랙홀로 붕괴하는데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은 온라인 공공서비스의
한계
를 보완하면서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개척해 나간다.앞서 언급한 것처럼 유비쿼터스의 핵심인 무선·모바일·센서 기술은 온라인보다 한층 더 빠르고 편리한 공공서비스를 보장한다. 모바일 민원서비스가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한다. 더욱이 기존 칩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전자파가 성능
한계
를 돌파하는데 가장 큰 장애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김 교수의 연구실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자기업인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연구팀들과 힘을 모아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기존의 칩을 한차원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화소수에서 뒤쳐졌고, 디지털카메라는 고화질 사진 촬영이 가능하지만 동영상 촬영에
한계
가 있었기 때문. 삼성전자의 듀오캠(DuoCam)은 캠코더로는 처음으로 이중 렌즈 방식을 채택해 최고 4백만 화소의 정지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www.sec.co.kr허공에 그리는 마우스세계 최초의 3차원 무선마우스 Z3.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