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더 이상 작게 할 수 없게 되면 어떻게 될까를 고민한다. 그리고
한계
에 이른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은 무엇일까를 생각한다. 그러면서 0.13μm의 선폭을 갖고 있는 마이크로의 세계에서 10억분의 1m인 나노세계로 눈을 돌린다. 나노 크기의 저장매체를 활용하면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던 리 드 포레스트 삼극 진공관을 개량하는 일이었다. 이 진공관으로는 신호 증폭에
한계
가 있었기 때문이다.진공관 개량 위해 연구 시작1930년대 들어서면서 새로이 연구소장을 맡게 된 머빈 켈리는 어쩌면 반도체 물질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른다. 그는 2차 대전이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기술전략연구소장은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2018년이면 선폭이 16nm까지 줄어들어
한계
에 부딪칠 것”이라고 본다.트랜지스터는 아주 작은 스위치다. 트랜지스터 하나에는 전자가 나오는 소스 전자가 흘러들어가는 드레인이 있고, 두개의 사이에서 전자의 흐름을 조절해주는 게이트가 있다. 전자가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또는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어 중앙처리기에 의해 직접 호출될 수 있으나, 그 기억용량에
한계
가 있으므로 별도로 디스크 또는 드럼을 보조용 기억장치로 쓰는데, 이것을 가상기억장치라고 한다 역학에서 일정한 구속조건을 어기지 않고 또한 실제로 가능한 질점의 미소변위를 가상변위라고 한다 ... ...
머리 많이 쓸수록 뇌는 '웰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더 많이 연결돼 손상된 뇌 기능을 어느 정도까지는 회복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는
한계
가 있기 때문에 뇌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는 것은 불가능하다.퇴행성 뇌질환에 걸린 노인의 뇌신경세포는 이런 자생적 치유 과정을 압도할 정도로 빠르고 심하게 파괴된다. 따라서 점진적으로 뇌 기능들도 감퇴해 ... ...
03. 정신질환, 예측하면 막을 수 있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예방은 의학의 궁극적 목표다. 정신분열병의 경우, 발병 후 오랜 기간이 지나면 치료에
한계
가 있다. 단지 증상을 완화할 뿐 병리적 과정을 되돌리기는 어려운 것이다. 즉 발병은 이미 뇌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생겼음을 의미하며, 가장 최선의 치료도 그 변화가 더 진행되는 것을 막는 정도다 ... ...
실내공기를 조심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다는 말이 결코 틀리지 않다는 말이다.하지만 환기만으로 유해물질을 줄이는데는
한계
가 있다. 오염원이 완벽히 없어진 것도 아니고 환기를 통해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 또한 깨끗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등장한 것이 공기청정기다. 공간 크기와 구조를 고려해 적절한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부족할 수 있다.기존 설비
한계
극복 계기착륙시스템의
한계
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성항법 기반의 착륙시스템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항공기가 정지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직접 받아 스스로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즉 위성이 발사한 전파가 항공기에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검색할 수 있게 된다.기술적 법적 논란 일어 하지만 전자태그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한계
가 여전이 많다. 우선 현재 나와있는 대다수 전자태그의 인식률이 60-70%로 너무 낮고 인식거리도 4-5m 이내로 너무 짧다는 것. 이 정도면 수출용 컨테이너나 팔레트에 적합할 뿐 물품이 어지럽게 쌓여있는 일반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일치하지 않고, 서남일본과 동북일본의 급격하고 큰 회전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
가 있다. 이처럼 동해의 열림 과정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가 존재한다. 그만큼 동해 확장이 단순하지 않고 복잡한 과정을 겪었다는 의미다. 지질학자들에게 동해는 여러 면에서 미스터리한 존재다.이 문제를 풀기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