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남의별' 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하기도 했으니 참으로 웃지 못할 일이다.우리별2호가 발사된 것은 1993년 9월26일. 프랑스령인 기아나센터에서였다. 기아나센터는 영화 '빠삐용'에 나오는 감옥이 근처에 있어 더욱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우리별2호는 위성의 임무설정에서부터 설계 제작 환경시험, ... ...
- 한국의 우주 개발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무궁화, 아리랑으로 이어지는 위성 개발과 한·미간에 첨예한 문제로 떠오르는 위성발사체 등 세계 10위를 내다보는 한국 우주개발의 청사진과 그 속사정을 살펴본다 ...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세계는 지금 정보 전쟁을 치르고 있다. 냉전시대에 군사위성이 활보했다면 정보시대에는 통신방송위성이 핵심 무기다. 출정식을 치른 무궁화 ... 명물이다. 여기에는 세계의 주요 로켓모형도, 실물 크기의 무궁화위성체 모형, 무궁화위성 발사체인 델타 II7925 등 다양한 자료가 전시돼 있다 ...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을 실행하기 위해선 총 4조8천억원이 든다. 분야별로 보면 위성체분야에 2조원, 발사체분야에 1조3천억원, 위성이용및 우주과학분야에 1조5천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과학동아 l1995년 12호
- 것이 관계자의 얘기다. 로켓 개발에 대해선 가능한 언급하지 않으려는 연구자들은 우주발사체 개발이 어려운 까닭은 기술적 측면이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 ...
- 3.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수확예측, 지하자원탐색, 그리고 어군탐지 등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된다.1999년에 발사될 우리나라 다목적 실용위성의 이름이 정해졌다. 지난 10월23일 과학기술처는 총 1천2백83개의 응모작 가운데 '아리랑'이란 이름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가장 경제적인 위성 아리랑1호는 1천6백50억 원의 ... ...
- GPS 인공위성 이용 정밀한 위치 측정과학동아 l1995년 11호
- 있다.뿐만 아니라 지금은 배가 조난되었을 때 SOS 신호와 함께 GPS로 확인한 위치를 전파로 발사하여 배의 조난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해상 구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해양연구소에서 운용하고 있는 온누리호에도 GPS 수신기가 탑재되어 있어 우리나라 근해의 해양 탐색 및 해저 ... ...
- 태양에 뜻밖의 두종류 진동 발생과학동아 l1995년 11호
- 유럽 우주기구(ESA)가 발사한 태양근접 탐사선이다. 율리시스는 지난 6월 18일에 태양 북위 70.3도 1억1천5백만km 상공에 도달한 후, 9월29일 태양을 이탈할 때까지 1백4일 동안 태양의 북극 지역을 철저하게 관측했다.율리시스가 보내온 자기 에너지와 태양풍의 관측 자료에서 과학자들은 특이한 점을 ... ...
- 태초 우주 비밀 밝힐 원시헬륨 발견과학동아 l1995년 11호
- G.A. Kriss) 박사와 젱(W.Zheng) 박사의 도움이 컸다고 말했다. 이 원시 헬륨은 지난 3월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엔데버호에 설치되니 자외선망원경으로 관측됐다."우리는 대폭발 때 만들어졌을 것으로 확신하는 은하가 가스를 검출했고, 이것은 우주의 기원에 밝히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대이빗센 ... ...
- 초신성폭발의 장엄한 피날레과학동아 l1995년 11호
- 아스트로1'이 발사된지 5년 후인 1995년 3월2일, '아스트로2'가 우주왕복선 엔데버호에 실려 발사됐다('과학동아' 95년 5월호 참조). 아스트로에는 HUT WUPPE UIT 등 세가지 자외선망원경이 사용됐다. HUT은 분광관측용 망원경이고, WUPPE는 측광과 편광 관측을 위해서 설계됐다.함께 탑재된 UIT(Ultraviol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