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10
- 보니 더 이상 구할 수 있는 퍼즐이 없어 직접 퍼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첫 퍼즐을 몇 개월 만에 제작한 그는 단순히 경험상 참가해 본 국제퍼즐디자인대회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당연히 믿기지 않았죠. 저는 단지 우리나라에도 기계적 퍼즐을 만드는 퍼즐가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어서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10
- 천문학자다. 1969년 인간은 달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지나서야 개수를 셀 수 있게 됐다. 밤하늘 은하수의 별들에는 하나하나 이름이 붙어있지만, 박테리아는 아직도 태반이 이름이 없다. 우주보다도 미지의 세계다. "왜 미생물 신종을 찾아야하냐"는 질문에 조 교수는 "호기심 때문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10
- 외로 뜨거웠다. “재밌다 느껴지면 몰입도가 대단하셨어요. 연구하시는 것처럼 여러 개의 버전으로 찍어온 분도 있었어요.”등산이 취미인 박세일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계룡산을 주제로 만든 영상 ‘내 마음의 산’이 만족스럽지 않자 수차례 다시 오르며 재촬영을 이어갔다. 과학자만의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10
- 생긴 조직을 먹은 만두카는 몸과 배설물에서 이상한 냄새를 풍기게 된다. 이 냄새를 맡은 개미는 어느새 식물의 줄기를 타고 올라와 만두카를 잡아간다. 만일 끝까지 만두카가 살아남으면, 최후의 수단을 쓴다. 잎에서 만든 영양분을 뿌리로 내려 보내는 것이다. 만두카가 잎을 다 먹고 사라지면,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10
- 서 현생인류 여자아이 '에이라'는, 우연히 네안데르탈인 들과 함께 살며 그들의 '미개한' 삶에 한 가닥 밝은 빛을 비춰준다. 영락없는 북서 유럽인의 얼굴을 한 영화 속 에이라는, 당시 학계와 사회가 모두 생각하던 현생인류 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런 얼굴만 현생인류의 얼굴은 아니다. 납작 한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10
- 나가지 못하는 지역’을 정했다. 태양권의 경계인 태양권계면 역시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개념이고 측정은 이뤄진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나 덕분에 처음으로 그 존재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내가 여기까지 오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태양권계면은 한 번에 그냥 통과할 수 없다. 그보다 30~40AU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10
- 서로에 대해 격려를 잊지 않던 학생들의 모습이 이런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7개월 동안 밤낮으로 연구를 이어갔던 공통의 경험이 있어서인지 처음 보는 사이에도 같이 기념사진을 찍고 연락처를 주고받던 모습도 인상깊었다.김연배 부회장이 시상식에서 “야생마를 본 것 같다”고 밝힌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10
- 그냥 슈뢰딩거 방정식에 따라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얼마나 단순한가! 비록 우주의 개수가 무한히 많아지기는 해도 말이다.현대 물리학은 허무한가2013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한 양자물리학회에서 3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했다. 지지하는 양자해석이 무엇이냐고 물었는데, 코펜하겐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10
- 피해를 주지 않는다. 여기서 브리지란, 문제가 생겼을 때 막을 수 있도록 회선을 여러 개로 나눠 놓는 것이다.복잡계 연결망 분야는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그 토대가 되는 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진 것이 불과 15년 정도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10
- 보낸 순서대로 정리했다. 모두 9개의 글자를 찾을 수 있었다.수지가 있는 곳을 알아내다!9개의 글자를 본 소마는 이것이 암호라는 것을 한순간에 알아챌 수 있었다. 좀처럼 쓰이지 않은 글자는 물론이고, 악보의 맨 오른쪽 아래 같은 위치에 같은 글씨체로 글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소마는 글자를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