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질"(으)로 총 1,7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새로운 도전을 권했다. 김성호 교수의 ‘이것만은 꼭!’ △새롭고 차별화된 후보물질을 찾아내는 게 가장 중요 △전통과 습관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해야 △신약 개발 등 새 분야 개척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 석사 1 ...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동아사이언스 l2012.07.23
- 연구기관의 기술, 민간의 투자가 맞물려서 돌아가는 과정이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질좋은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 분야에서는 제품으로 만드는 과정의 성공률을 높이면 전체적으로 성공률이 높아진다. “단순히 살아 있는 것과 건강하게 사는 것은 다릅니다. 좋은 원천 기술로 기업들이 낸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의대와 자연과학대가 분리되니까 배워 온 선도기술을 살릴 수 없고 협력관계도 맺어질 수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오선호 교수 역시 “한국인의 치과보건건강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좋은 연구테마를 한국 치과의사에 제안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도 환자 샘플을 5개 수집하는 데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양성, 특허?논문 숫자에서 양적인 성장을 보여준 것이다. 이제 우리 바이오는 ‘양에서 질로 가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이런 내공이 쌓여 기업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새롭게 생겨야 할 전임상과 임상 분야에서 전문가를 키우고, 변호사·변리사도 있어야 한다. 정보 네트워크를 위한 ...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07
- 길러 신약 개발은 물론 장기이식용으로 쓰는 등 의료산업에도 농업의 기여도는 점점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학계 공동연구로 경쟁력 확보 절실 “‘바이오그린21사업’을 통해 대학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인력을 양성해 농업생명공학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서죠. 당장 ...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4.11
- 쌀 유전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쌀에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성분을 찾아낸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이 성분을 이용해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고 지식경제부에서는 이 약을 대량생산하도록 지원한다. 정부 부처가 서로 연계되지 않으면 아무리 훌륭한 연구 결과가 ...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동아사이언스 l2012.03.07
- 있어야 한다”며 “생명공학 네트워크가 견고할수록 풍성하고 유익한 연구결과가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양 단장은 이런 의미에서 2002년부터 10년간 이어온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가장 큰 성과를 ‘네트워크 구축’이라고 답했다. 그는 “무형적 결과이긴 하지만 함께 일할 수 ...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동아사이언스 l2012.01.24
- 기능 유지할 ‘정부출연연구기관’ 꼭 유지돼야 △‘단백질 신약’ 분야 경쟁 치열해 질 것 “안전성연 영장류센터 통해 ‘적극적인 신약개발 사업’ 지원해야” △환경정책이 미래 사회 경쟁력… “환경독성 연구분야 관심 기울여야” 이상준 소장은 - 1977 중앙대 약학과 졸업(학사) - 1986 중앙대 ...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동아사이언스 l2011.12.13
- 인간의 혈액을 백혈구세포, 혈장, 혈청, 혈구, 유전자샘플 등으로 분리해 보관한다. 액체질소탱크 69대와 영하 70도로 유지되는 초저온 냉동고 79대를 보유하고 있어 혈액자원 보관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다른 인체자원과 협력해 내년 까지 20만 건 이상의 인체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동아사이언스 l2011.12.05
- 표현했는데, 이는 국내의 바이오 실력을 전혀 모르는 데서 나온 소리”라며 “양보다는 질로 성과를 평가하고 연구자들에게 지금보다 더 많은 자유를 보장한다면 제2의 조선, 철강, K-POP처럼 세계를 석권하는 일이 불가능하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