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 속 최초 자율주행' 카테터 자율 로봇 개발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때 걸린 시간인 100~300초와 비슷했다. 뒤퐁 교수는 “피로 가득 찬 뛰는 심장 속에서 3㎜
단위
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한 것이 좋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자율로봇의 목적은 복잡한 작업에서 외과의를 보조해 외과의가 가장 어려운 조작에만 집중하도록 해 결과를 높이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 ...
'이달의 KIST인'에 조영욱 선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개발하려면 먼저 양자역학계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특히 연산의 기본
단위
인 큐비트를 정밀하게 조작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조 선임연구원은 양자컴퓨팅에 필요한 양자회로를 구현해 양자측정 장치를 구현했다. 그리고 큐비트를 조작하면 양자상태가 변했다가 다시 원래 상태로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받은 한 개인의 유전체를 NGS를 이용해 해독했다. NGS는 유전체를 수십~수백 개 염기서열
단위
로 짧게 자른 뒤 재조합해 전체 유전체 정보를 복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원래 유전체 한 개만으로는 정확도가 떨어져서 그보다 많은 양의 유전체를 확보한 뒤 해독한다. 연구팀은 100배 크기의 ... ...
인천·부산·울산·경남·충남, SW 융합클러스터 2.0 지원지역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추진한 ‘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사업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기존 사업은 기업
단위
로 지원한 연구개발(R&D) 중심이었다면 이번 2.0 사업은 기업 연합 플랫폼을 지원해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 각 지역은 국비와 지자체비를 투입해 사업에 나선다. 인천은 약 140억 원을 투입해 ... ...
“마이크로RNA 치료제 실현하려면 기초연구 기술개발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miRNA)의 대가다. miRNA는 다른 RNA와 마찬가지로 뉴클레오타이드(DNA와 RNA를 이루는 기본
단위
)로 이뤄져 있지만 단백질을 합성하지 않는다. 그 대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DNA의 유전정보는 RNA로 만들어지고 단백질을 합성해 유전자가 발현된다. 우리 몸에 있는 수만 종의 RNA 가운데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수 있다. 권 책임연구원은 "이 물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하면 세포에서 분자
단위
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테라그노시스연구단이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해 엑소좀을 ... ...
‘적이냐 먹이냐’ 순간적 판단, 뇌 속 ‘스트레스 세포’가 담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빠른 긍정, 부정 판단을 한다는 가설이 있었다. 하지만 기존에는 이 세포의 활성을 30분
단위
로만 측정할 수 있어서 실제로 이 세포가 HPA축을 조절하고 부정 또는 긍정적 기분을 이끌어내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서 교수팀은 뉴욕대와 공동으로 생쥐에게 다양한 자극을 가하며, 동시에 머리의 ... ...
부산대 연구진, 성능 개선된 양자통신용 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자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최소 에너지
단위
다. 양자얽힘은 양자역학에서 두 양자계가 공간적으로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 현상을 말한다. 양자통신이나 양자컴퓨터, 양자계측은 모두 양자얽힘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때 ... ...
양자컴퓨터 구현할 양자물리계 핵심 두 개념 관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선임연구원과 김윤호 포스텍(POSTECH)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양자컴퓨터의 기본 정보
단위
인 '큐비트'를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역학적 현상의 원리를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큐비트는 양자컴퓨터의 기존 컴퓨터의 디지털 비트에 해당한다. 양자역학은 양자론의 기초를 이루는 물리학 ...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의과학대학원 연구실 연구장면. KAIST 제공. 양자컴퓨터 정보처리 기본
단위
인 ‘큐비트’간 상호관계를 제어해 새로운 방식의 ‘리드버그원자 양자컴퓨터’가 2018년 KAIST 대표 연구개발(R&D) 10대 성과에 꼽혔다. 연구를 주도한 안재욱 KAIST 교수는 지난해 하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기초과학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