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5G장비 성능 떨어뜨리는 과열, 방열소재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중요해지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방열소재는 열전도도가 600W/mK에 달한다. 이
단위
는 특정 물체에서 열이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전달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구리(400W/mK), 알루미늄(220W/mK) 등 단일 소재보다 열전도도가 1.5~2배 가량 높아 열 방출이 빠른 게 특징이다. 특히 과열에 따른 부품 불량의 ... ...
스스로 학습하는 ‘AI 반도체’ 급성장… 완전히 다른 세상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영감을 얻었지만 데이터가 거꾸로 흐르는 과정이 존재하고 정보 처리도 여러 비트를
단위
로 처리한다는 점에서 기본 특성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뉴로모픽의 장점은 효율이다. 일반 컴퓨터는 연산과 저장 등의 처리장치가 구분돼 있고 이들 사이를 통신 네트워크가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정보 ... ...
기본
단위
재정의 기념우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우정사업본부 제공 20일부터 기본
단위
인 질량과 전류, 온도, 물질량의 정의가 새롭게 바뀌는 것에 맞춰 이를 기념하는 우표가 나온다. 우 ... 발행을 통해 올해 5월 20일 세계 측정의 날을 기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단위
재정의에 많은 국민이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 ...
20일 질량·전류·온도·물질량 정의 한층 더 명확해진다
2019.05.19
7가지 기본
단위
와 관련 상수를 도식화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20일 0시부터 국제
단위
계(SI)의 7개 기본
단위
중 4개
단위
의 바뀐 정의가 공식 시 ... 첨단기술을 선도하는, 철학을 바꾸는 환골탈태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변하는 표준
단위
와 재정의 내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 ...
"로켓·위성만 보면 안되는데…AI·로봇이 우주산업 이끌 것" 한불 우주포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돌발상황에도 사람처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렇게 마이크로
단위
만큼 정밀도를 가진 로봇 기술을 활용해, 극고온이나 극저온 등 극한 우주 환경에서도 인간을 대신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주산업 발전만큼 사이버 보안 중요 장 마크 나스르 에어버스 ... ...
의료·금융·에너지…개인이 편리하게 관리하는 '마이데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누진제 적용 시작 구간 알람 등의 에너지 절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월
단위
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던 사용량을 시간대별로 확인해 가구마다 사용량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또 사용량 비교분석을 통해 이상 가스패턴이나 누수, 누진 등을 조기파악할 수 있다. 이 외에도 ... ...
'0101' 이진법 쓰지 않는 컴퓨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멀티레벨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반도체는 성능 향상을 위해
단위
소자를 더 작게 만들어 면적당 소자의 수를 증가시킨다. 하지만 집적화로 성능이 늘어날수록 전력 소모와 발열도 늘어나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양자역학적 한계도 있어 5년 내로 미세화가 더 어렵다는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로보닥이 뼈를 깎기 시작한다. 로봇팔 끝에는 빠르게 회전하는 밀링커터가 달려있어 mm
단위
로 세밀하게 깎을 수 있다. 뼈를 깎는 부위를 최소로 줄이고 다리 전체에 가하는 힘이 적어져 골절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줄어든다. 이때 마찰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로봇은 수술하는 동안 절삭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찌릿찌릿 가슴 통증으로 임신 사실을 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비교해 절반이 좀 안 되는 양이었다. 연구팀은 유방 조직이 재분배되면서 유방의 효율성(
단위
유방 조직 당 모유 생산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인체의 신비가 놀라운 한편, 이래서 임신과 출산을 겪은 이의 유방은 임신 이전으론 결코 돌아갈 수 없는 거라는 씁쓸한 생각이 든다. ... ...
천리안 1호 해양관측 데이터로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진행할 것”이라며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아지는데 이를 일주일
단위
로 산출해 1년간 변화나 양상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닷물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은 지구 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양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