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발전해 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들이 이동하는 차량 안에서 대용량의 3D 동
영상
을 실시간으로 받아 재생해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 4세대 이동통신의 도입이 필수적이다.][4세대 이동통신에서는 화상통화는 물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빠른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개발하고 있다. 초전도 자석은 MRI의 핵심부품이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국내 MRI
영상
처리 기술을 가진 국내 벤처기업과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국산 MRI의 개발과 상용화에 뛰어들었다. SiC 나노분말은 2000℃ 이상의 고온을 견딜 만큼 내구성이 뛰어난 물질로, 비행기나 고속철도의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느끼던 것보다 안 좋게 보이자 실제로도 더 힘든 느낌을 받는다. 이처럼 자신을 보여주는
영상
이 그 사람의 실제 모습을 좌우할 수 있다. 흔히 찍는 ‘셀카’를 생각해 보자.자신의 모습을 남들이 봐주기 바라는 대로 연출한다. 이런것을 ‘외부의 시선이 내면화된다’고 말하며, 카메라 같은 장치가 ... ...
벼룩 점프의 비밀 풀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실제 벼룩의 신체조건을 분석해 벼룩의 뜀뛰기를 이론적으로 정립한 뒤, 고속촬영한
영상
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두 주장이 모두 맞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벼룩은 단거리 육상선수의 출발자세인 ‘크라우칭’과 같은 자세를 취해 레실린에 힘을 축적하는 동시에 넓적마디와 발목마디를 ... ...
과체중인 아이, 운동하면 수학실력 오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지능지수를 검사했더니 모두 전보다 높아진 결과가 나타났다. 뇌 활성화 정도는 자기공명
영상
(MRI) 장치로 확인했는데, 규칙적인 운동이 뇌 속 전전두피질의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전두피질은 뇌에서 복잡한 사고와 의사결정, 정확한 사회적 행동을 담당해 수학성적과도 관련 있다.한편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빛을 내보내는 레이저가 아니라 빛을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광자를 사용하는 광학컴퓨터나 신개념
영상
의학 장비 등을 개 ...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또 전자기선 등에 활용하면 인간의 피부 조직에 침투해 치료나
영상
의학에 활용할 수도 있다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했고 1주에 1번씩 개인교습을 받았다. 6주가 지난 후 실험참가자들의 뇌를 자기공명
영상
(MRI)으로 관찰했더니 저글링을 연습한 사람들은 모두 뇌구조가 변해 있었다. 미엘린이 생성돼 뇌의 백질 이 5%씩 증가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2009년 10월 11일 과학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 ...
이동통신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통해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정보를 보내면서 음성신호를 다시 만들어내거나 텍스트와
영상
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연구한다. 여기에는 거의 모든 전자공학 기술이 쓰인다. 1990년대 이후 휴대전화 사용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동통신에 대한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여러 가지 응용된 형태가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각 전파망원경이 받은 신호를 한 군데 모아서 동시에 재생하면 선명하고 해상도가 좋은
영상
을 얻을 수 있다.세계 최초 네 주파수 동시 관측지름이 500km가 채 안 되는 KVN은 8000km가 넘는 미국이나 2200km인 일본의 초장거리간섭계에 비해 아직 부족하다. 그러나 KVN은 세계 최초로 네 주파수를 동시에 ... ...
음악을 들으면 행복해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뇌의 어느 부분에서 나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성자단층촬영(PET)과 기능성자기공명
영상
(fMR) 촬영을 동시에진행했다. 이 결과 사람이 음악을 들으면 도파민이 학습과 기억의 중추인 ‘미상핵’과 기쁨을 느끼게 하는 부분인 ‘아큠밴’에서 분비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도파민 분비량은 음악 소리가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