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손가락뼈와 발가락뼈의 기본기능은 체중을 지탱하는 일이다. 손가락 관절은 위에서
아래
로 힘을 받을 때 버틸 수 있도록 한쪽으로만 접히게 돼 있다. 반면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아이아이의 가운데 손가락은 체중을 버티기엔 적합하지 않다. 더구나 다른 손가락에 비해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방출한다. 방선균류는 토양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며 사는 박테리아로 토양 표면 바로
아래
서 서식한다. 싱그러운 흙 냄새가 유독 여름에 진동하는 이유아마 많은 이들에게는 오존 냄새나 비 냄새보다는 흙 냄새가 좀 더 강렬하게 기억될 것이다. 사람의 후각이 유독 지오스민에 예민하기 때문이다.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해요. 수플레는 머랭에 다양한 재료를 넣고 오븐에 가열해 부풀린 음식이랍니다(
아래
오른쪽 사진). 에르베 티스는 같은 양의 재료라도 넣는 방법을 바꾸면 수플레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다른 음식들에도 이와 같은 비밀이 숨어 있을 거라 생각한 에르베 티스는 2만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피해 허공을 날아가지요. 그런데 일곱 번째 레벨인 ‘Jumper’처럼 게임 도중에 위
아래
가 바뀐 채 박스가 천장을 달리는 구간도 있어서 무척 헷갈린답니다. 너무 어렵지 않느냐고요? 수십 번을 반복하다보면 금세 손가락 끝에서 익숙해져요. 여러 번 해도 지치지 않는 이유는 레벨마다 즐거운 음악이 ... ...
[과학뉴스] 앙코르와트 인근서 지하도시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에번스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유적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인근 정글의 땅
아래
에서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은 중세도시들을 발견해 ‘고고학 과학 저널’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레이저 레이더인 ‘라이다(lidar)’를 헬리콥터에 달고 비행하며 땅속의 3차원 입체 정보를 얻었다. 190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사이의 기증을 거부하긴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이 때문에 가족 내 서열에서 가장
아래
에 있는 사람이 기증을 하게 된다는 2차 문제가 생긴다. 하 연구원은 “결혼 적령기를 넘긴 미취업 여성이나 중년 여성이 자주 기증을 권유받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결정 과정에서 압력을 느낀 적이 있다고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움직여 뼈를 갉아낸다. 그 결과 위턱이 문 쪽엔 작은 점 모양의 찍힌 자국이 생기고
아래
턱이 문 쪽엔 긴 일직선 형태의 긁힌 자국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오로지 앞니를 갈기 위한 목적으로 뼈를 이용하는 회색 큰다람쥐(gray squirrel)는 긴 뼈의 몸통처럼 두껍고 단단한 부분에 이빨 자국을 남긴다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바꿔야만 한다. 그런 환경을 만들려면 결국 우리 스스로의 힘에 의지해야 한다. 희망은
아래
로부터 올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저자의 메시지가 의미심장하다. “기후변화는 인류 조직의 새로운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본성 때문이다, 그러니 본성으로 해결하자이 책의 결론부터 말해보자. 진보와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띠기 때문이랍니다. 북방산개구리는 산 속의 계곡 주변에 쌓인 낙엽이나 돌
아래
에서 볼 수 있어요. 두꺼비처럼 2월부터 번식을 시작하는데, 수컷들은 ‘호르르르~’ 하는 독특한 소리로 노래하며 암컷을 유혹해요.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고인 물에 알을 낳지요. 4월까지는 겨울잠에서 깨어난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지하에서도 식물을 기를 수 있어요.그런데 항상 등을 켜 놓는 우리 집의 화분은 햇빛
아래
에 있는 화분들보다 잘 자라지 않아요.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형광등의 파장은 400㎚~600㎚이고, 백열등은 600㎚ 이상으로 빛의 파장이 각각 한쪽으로만 치우쳐 있기 때문이에요. 이런 환경에서는 식물들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