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과거 급격한 맨틀 상승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로모노소프 해령북극점 바로 아래 있는 해령이다. 가켈 해령의 확장 때문에 대륙에서 떨어져 나간, 활동성이 없는 해령이다.가켈 해령북극해에 있는 유일한 중앙해령이다. 대서양 중앙해령으로부터 이어져 길이가 1800km에 이른다. 중심에는 ... ...
- [수학뉴스] 각기둥일까? 원기둥일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모양이지요.즉 모서리 네 개 중 정면 두 개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 모양이고, 옆면 두 개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모양입니다. 이렇게 입체도형을 만들면 실제 도형을 볼 때와 거울에 비친 도형을 볼 때 눈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져 도형이 다르게 보이는 착시 현상이 일어납니다.수기하라 교수는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다 똑같은 분포가 그려지거든요. 또 원자핵의 에너지 분포와 리만가설이 옳다는 가정 아래 구한 해의 분포가 이 랜덤행렬의 고윳값 분포와 통계적으로 같아요. 이뿐만 아니라 사회현상이나 자연현상에서도 찾을 수 있어요. 그래서 저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어떤 현상과 랜덤행렬의 고윳값 분포가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는 곳까지 도착해 허리를 굽혀 보물 쪽으로 손을 뻗으니 진짜 물체가 만져졌다. “다리 아래로 떨어져 보라”는 권 소장의 제안에 심호흡을 크게 쉬고 다리 옆으로 뛰어내리자 바이킹을 탈 때 느껴지는, 배가 간질간질한 느낌이 들었다.HMD를 벗자마자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 건 손에 들려있는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76조에 따라 최고 350해리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것을 법적 대륙붕이라고 한다(아래 그림 참조). 과학에서는 대륙붕을 해저면의 경사가 가팔라지기 시작하는 붕단(shelfedge) 전까지로 본다. 그렇지만 법적 대륙붕은 대륙사면의 끝점(FOS, Foot Of Continental Slope)으로부터 60해리 밖이나, 퇴적층의 두께가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구한 것일 뿐, 회사를 더 키울 수는 없었다. 인천에 갔을 때 50층짜리 빌딩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다른 회사 사무실 여덟 군데를 들르고, 줄줄이 연속 퇴짜를 맞은 일이 있었는데, 그때 내가 기운이 빠져서 그랬다.“어떻게, 이렇게, 이렇게 장사가 안될까요?”“갑자기 산림보호법이 또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변하는 것을 좌우만 인지할 수 있지만, 이 카메라는 사람의 움직임을 앞뒤, 좌우, 위아래까지 감지할 수 있지요. 그리고 이 정보를 컴퓨터로 전달한답니다. 그러면 컴퓨터는 사람의 동작과 가상공간 정보를 합쳐서 나타난 변화를 3D TV에 보여 주는 거예요.또한 컴퓨터 두 대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클리퍼드는 뒤통수를 맞는 기분을 느낀다. 비결은 ‘공간을 접는 기술’이었다. 아래에 있는 그림을 보자. 우주선이 들어가는 입구와 나오는 출구가 있다. 책을 활짝 펼쳤을 때는 입구와 출구가 멀리 떨어져 있어 이 거리를 움직이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런데 책을 적절히 접으면 입구와 ...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분수공에서 만든 초음파를 여기서 증폭시킨답니다. 그리고 다른 돌고래가 낸 초음파는 아래턱뼈로 인지하지요. 돌고래는 초음파를 이용해 박쥐처럼 장애물을 피해가기도 하지만, 자기들끼리 대화도 한답니다.돌고래 소리는 ‘지프의 법칙’ 따르는 언어!과학자들은 돌고래가 내는 휘파람 소리가 ... ...
- [과학뉴스] 화산 없는데 땅 밑에 웬 마그마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동 때문이며, 새로운 화산 형성의 신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마그마가 지표 아래 10km까지 올라왔지만 적어도 이번 세대에는 폭발하지는 않을 거라고 결론 내렸다. 햄링 박사는 “마그마가 수백~수천 년 동안 발달해야 화산이 될 수 있다”며 “결국 식거나 그대로 굳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