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어떻게 될까요? 벡터장 X에 x′를 더하면(그림②) 새로운 벡터장 X+x′가 만들어집니다(그림③). 벡터장 X+x′의 궤도는 N에서 S로 빙글빙글 돌아 내려갑니다. 벡터장 X와는 전혀 다른 형태지요.원래의 벡터장에 다른 벡터를 붙였을 때 전혀 다른 벡터장이 돼 버리는 것을 ‘불안정한 벡터장’이라고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주제로 한 것이다. 자세히 보면 그림의 중심으로부터 아주 작은 고리가 점점 커졌다가, 그림의 가장자리에 가면 다시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어떤 도형이 무한히 작아지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뱀은 이런 무한 도형을 둘러싸고 있는 우주다. 즉, 에셔는 뱀을 이용해 평면에 무한한 ... ...
- 뱀 마을 아프리카 족장 비아미 젤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돌을 끼우면 동굴 문을 열 수 있어!”벽돌처럼 생긴 돌 위에 뱀 그림이 그려 있다. 조각을 그림 순서대로 맞춰 보자.“얏호! 드디어 열렸다! 저기에 황금 코브라가….”저기에 황금 코브라가 있었지만 한 번에 갈 수 없다.“주사위를 던져서 나온 숫자만큼 가야 해. 누가 먼저 가나 내기할까?”두 ... ...
- 정글에서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만지기살아있는 것 같은 동물을 만질 수 있다. 나도 동물 생태화가!좋아하는 동물을 그림으로 남겨 보자.극지 동물 지켜 줄게~!펭귄과 북극곰을 보며 환경을 생각하자. 동물과 함께 동화 속으로동화 속 주인공 동물과 추억을 만들자.동물과 좀 더 놀고 싶다고요?우리와 함께 세계동물대탐험전에서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DNA의 구조에서, 원자를 조금씩 바꾸거나 고리 모양을 변형한 분자를 6개 만들었다(아래 그림). ‘ANA, FANA, TNA’ 등으로 이름 붙인 이 분자는 DNA와 거의 비슷하다.최고의 정확도를 자랑하는 DNA 중합효소조차 이들을 DNA로 착각하고 끼워 넣을 정도다.2012년 4월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 ... ...
- 우주지도분쟁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구의 북극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극을 북극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흔히 태양계를 그림으로 그릴 때 편의상 지구의 북극이 위를 향하도록 그리므로 위쪽이 북극이 된다. 다른 방법은 ‘오른손 법칙’이다. 엄지손가락을 세워서 자전축이라고 생각한 뒤 회전하는 방향으로 나머지 손가락을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중 A를 G로, C를 U로 바꾸는 ‘RNA 편집(RNA editing)’이라는 현상이 이미 밝혀져 있었다(아래 그림).이는 대부분 체내에 들어온 RNA 바이러스로부터 세포를 방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즉 바이러스의 RNA를 직접 공격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킨다.따라서 RNA 편집이 조금 일어났다고 해서 중심원리를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이용해 방정식을 완성했다.우선 북극의 얼음이 바다 위에 떠 있는 형태를 본떠, 왼쪽 그림과 같이 물과 얼음, 공기를 지름과 부피, 두께가 일정한 원기둥이라 생각했다. 얼음을 원기둥 으로 가정하면, 방정식에 각 변수를 대입해 얼음이 녹는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그 결과 얼음에서 전도되는 열의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안 좋은 일이 몰아서 일어나는 경우다. 어느 것이 더 자연스러운 상황일까? 당연히 그림❷다. 통계학자는 이러한 현상을 ‘군집현상’이라고 한다. 어떠한 사건이 여러 번 일어날 때, 골고루 분포하기보다는 몰려서 일어난다는 뜻이다.예를 들어 동전을 10번 던진다고 해 보자. 상황❶처럼 나오는 ...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방출하는데 이를 흑체복사라 한다.특정한 파장에서 방출되는 빛 에너지의 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온도에 따라 바뀐다.그런데 이 현상은 고전 전자기학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가 없었다.이 문제는 1900년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막스 플랑크가 ‘플랑크가설’을 제시하면서 해결했다.플랑크가설의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