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호저는 내게 특별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적 라는 책을 좋아했는데,
그림
으로만 보던 호저를 실제로 보게 되다니! 그 동화책의 삽화가 떠올라 괜스레 마음 한 구석이 따스해졌다.지프차를 타고 길 위를 달렸다. 별님이 보석처럼 촘촘히 박혀 있고 글로 표현할 수 없이 아름다웠다. 난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박사는 이 특이한 성질을 언덕 꼭대기에 몰려있는 구슬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아래
그림
). 이 구슬은 최대의 에너지를 가졌으며 안정한 상태인 음의 온도의 입자들에 대한 비유다. 브라운 박사는 “이 구슬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는 건 이미 더이상 증가할 수 없는 ‘최대의’ 운동에너지를 갖고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탑재한다는 것이다. 무인기 조종사는 실시간 기동보다는 전장 상황에 대해 좀 더 큰
그림
을 그리고 작전을 지시하거나 전투 상황을 관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지 않을까. 이를 테면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플레이어가 될 수도 있다.사람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 기술이 무인전투기에 줄 수 있는 ... ...
데스크톱용 3D 프린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간편한 데스크톱용 3D프린터가 개발돼 마치
그림
을 인쇄하듯 컴퓨터 모니터 속 상상도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입체 견본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200만 원을 넘기도 합니다. 일반형 휠체어의 10배에 달하죠. 가난한 개발도상국에서는
그림
의 떡이죠.과동이> 어떻게 하면 좋죠? 우리가 모금해서 개발도상국에 전동휠체어를 보내주는 건 어떨까요?쌤> 기특한 생각이에요. 하지만 휠체어가 고장났을 때 그 나라에서 부품을 손쉽게 구할 수도 없으니 ... ...
[화보] 설원에 펼쳐진 기하학의 예술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몰두한다.그는 왜 눈 위에 이런
그림
을 그리게 됐을까? 사이먼 백이 처음으로 눈 위에
그림
을 그린 것은 2004년 크리스마스 때다. 다리가 불편해 더 이상 뛸 수 없게 된 그는, 소복하게 쌓인 눈 위에서 걸을 때는 고통이 덜해 이와 같은 작업을 시작하게 됐다고 한다.지난해 사이먼 백은 프랑스 알프스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과정에서 각각 다른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이 세 개념이 하나의 큰
그림
으로 만날 수 있다니 정말 놀라웠다. 퍼즐 조각을 끼워 맞춰 하나의 작품을 완성시키는 기분이었다.또한 최영준 박사님께서 어려운 내용을 우리의 수준에 맞춰 설명해 주신 덕분에 더 이해하기 쉬웠다. 게다가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걸 깜박했구나. MC 쌩유의 말도 맞지만 꼭짓점과, 두 꼭짓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이루어진
그림
도 그래프라고 하지. 사실 그래프 이론이라고 하면, 스위스의 유명한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발견한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를 떠올릴 거야. 프레겔 강에 있는 7개의 다리를 한 번만 건너서 처음 ... ...
수학으로 물리친 3D 스노우어드벤처 눈의 여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점이라 가정해 1차원이라 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단다.프리즈 패턴은 모두 오른쪽
그림
과 같이 일곱 종류가 있어. 그중 걷는 발자국은 번 모양에 해당하지. 걷는 발자국에는 두 가지 성질이 있어.첫째, 왼쪽 발자국은 왼쪽 발자국끼리, 오른쪽 발자국은 오른쪽 발자국끼리 합동(
그림
① )이야. 어떤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어떻게 될까요? 벡터장 X에 x′를 더하면(
그림
②) 새로운 벡터장 X+x′가 만들어집니다(
그림
③). 벡터장 X+x′의 궤도는 N에서 S로 빙글빙글 돌아 내려갑니다. 벡터장 X와는 전혀 다른 형태지요.원래의 벡터장에 다른 벡터를 붙였을 때 전혀 다른 벡터장이 돼 버리는 것을 ‘불안정한 벡터장’이라고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