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장애물을 요리조리 피한다! 자율주행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학교로 가 줘!”라고 말하면 알아서 척척 길을 찾고, 장애물도 요리조리 피하는 자율주행자동차는 미래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로 손꼽혀요. 그래서 이번 메이커 스쿨에서는 기자단 친구들이 직접 자율주행차를 만들어 보았답니다. 과연 친구들은 장애물을 피하는 데 성공했을까요? ...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예측해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와 스웨덴 룬드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잠자리가 사냥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어요. 실험실에서 먹이와 비슷하게 생긴 물체를 다양한 경로로 이동시키면서 잠자리의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을 확인해 본 거예요. 그 결과,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헬륨은 우주에서는 수소 다음으로 흔하지만, 지구 대기에는 아주 희박한 원소예요. 지구에 있는 헬륨은 방사성 물질이 붕괴하면서 생겨난 것이랍니다.헬륨은 가볍고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공기 중 약 21%를 차지하는 산소는 생명체에게 매우 중요한 기체예요.그렇다면 산소는 누가 처음 발견했을까요? 바로 영국의 화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랍니다.공기 속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동시에 포집하면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이자민 연구원은 지난 달 12일부터 약 2주 간 국내외 고등학생들과 함께 지상 20m와 76m 상공에 드론을 날리는 한편, 현미경으로 미세먼지의 형태와 크기를 관찰했어요. 기자단 임소정, ... ...
- 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내 취미는 종이로 장난치기! 낙서도 하고, 종이접기도 하고, 휴지를 북북 찢어서 날리기도 하지. 종이는 싸고 흔해서 장난치고 버리기 딱 좋아!어? 뭐야? 내가 방금 낙서하고 버린 종이가 커지더니 날 태우고 하늘을 날잖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 ...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수 있답니다.한편, 바다에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 홍조류는 바다 어디에서든지 자랄 수 있고, 두 달 만에 몸집이 4배로 늘어날 정도로 성장 속도가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4분 뒤에는 완전히 모양을 갖춰서 네 발로 움직이는 로봇이 되지요.◀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상영 교수팀은 종이를 이용해 접을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들었다.최근 연구팀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여러 개의 로봇을 하나의 판으로 붙이는 연구도 진행했어요. 로버트 우드 교수는 “로봇이 하나의 ... ...
- [현장취재➊] 수리부엉이의 집은 몇 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영역과 행동권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어요. 사람으로 비유하면 영역은 집, 행동권은 학교나 마트까지, 그리고 서식처는 그 외에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한 전체 공간이라고 할 수 있어요.“두꺼비는 산속에서 작은 영역을 유지하고 살아요. 하지만 두꺼비의 행동권은 짝을 만나는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그래서 종이를 만들 땐 최대한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물질이기도 하지요.그런데 성균관대학교 남재도 교수팀이 골칫덩이 리그닌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리그닌을 특정한 화학물질과 반응시켰어요. 그러자 원래 따로 따로 떨어져 있던 리그닌 분자들이 사슬처럼 이어졌지요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