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천문학을 좋아하는 친구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한 번쯤 들어봤을 거예요.이 망원경의 이름은 위대한 천문학자인 ‘에드윈 허블’을 따서 지었답니다.허블은 188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보는 실습이 필요했지만, 실제 크기로 만들기엔 비용이 너무 비쌌어요. 그래서 두 대학교 연구진들은 가로, 세로, 높이가 10cm인 초소형 위성을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 보게 했어요. 이 초소형 위성이 지금의 ‘큐브샛’이랍니다. 이후 큐브샛은 우주 탐사에 필요한 기술을 검증하는 데에 쓰였어요.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지 150주년이 되는 날이랍니다.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마리는 프랑스 소르본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전공했어요. 이후 피에르 퀴리와 결혼해 함께 방사성 물질을 연구했지요.퀴리 부부는 1898년 우라늄 광석에서 ‘폴로늄’과 ‘라듐’이라는 두 가지 방사성 물질을 발견했어요. 이 공로로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박사는 암컷과 수컷의 목 길이가 다르다는 주장을 내놨어요. 반면 2011년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테일러 박사팀은 암수에 따라 디플로도쿠스류 공룡들의 목 길이가 다르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요. 대신 연령이나 좋아하는 먹잇감의 차이가 목의 길이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걸으면서 커피 쏟지 않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시상식의 전통에 따른 짧고 익살스러운 수상 소감이었지요. 한편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연구팀은 호주 원주민의 전통 악기가 코골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서 ‘평화상’을 받았어요. 또 영국의 의사인 제임스 히스콧은 나이가 들면 귀가 커지는 이유를 연구해서 ‘해부학상’을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세균이나 곰팡이처럼 지구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수많은 작은 생물들이 살고 있어요. 이런 미생물들은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볼 수 있지요.그렇다면 미생물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8화] 코딩이란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방향 카드를 순서대로 인식시키면, 코딩 순서대로 코딩펫이 움직여요. 경찰서나 놀이터, 학교, 빵집 등 다양한 장소로 가는 길 찾기 미션을 하면서 순차, 반복, 함수 등의 코딩 이론을 배울 수 있지요. 마지막으로 ‘프리 코딩 모드’를 이용해 흰 종이 위에 자유롭게 선과 색을 칠하면 내 맘대로 ... ...
- Intro. 우주의 비밀을 품은 보물 창고, 소행성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다음 뉴스입니다. 지난 9월에 거대한 소행성 3122 플로렌스가 지구를 지나친 데 이어서 10월 12일에 또 다른 소행성이 지구 근처를 지날 예정입니다….”비상이야, 비상! 소행성이 지구로 다가오고 있대! 자칫 잘못해서 충돌이라도 하면 어쩌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우주의 비밀을 ... ...
- Part 1. 지구를 지나친 역대급 소행성, 3122 플로렌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9월에 지구 근처를 지나간 소행성은 역대급 크기를 자랑한대. 소행성의 크기는 다 비슷하다고 생각했는데, 아닌가 봐. 도대체 얼마나 크다는 거지? 지난 9월 1일, 소행성 ‘3122 플로렌스’가 지구 근처를 지나갔어요. 당시 지구와의 거리는 700만km 정도로, 지구와 달 사이의 18배에 해당하는 상당히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청소기를 달고 우주로~! 오시리스-렉스소행성 샘플을 얻기 위해 우주로 탐사선을 쏘아올리는 경우도 있어요. NASA에서 만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는 지구 가까이에 있는 소행성 ‘101955 베누’에 도착해 샘플을 채취한 뒤, 다시 지구로 돌아오는 것이 목표랍니다. 오시리스-렉스는 2016년 9월 8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