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선형대수학은 ‘연립일차방정식을 어떻게 하면 잘 풀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됐답니다. 즉, 기계학습의 연산에 대해 잘 알려면 행렬과 벡터를 다루는 선형대수학과 연립방정식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한다는 뜻이죠.연립일차방정식을 행렬로 쓰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분명 추운 겨울에는 귀뚜라미 소리를 잘 듣지 못했는데, 날이 따뜻해지면서 점점 들리기 시작했거든요. 특히 무더운 열대야가 극심한 요즘에는 잠을 못 잘 정도라니까요? 기온과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의 관계가 궁금해진 아이폴리는 날마다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를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 ...
- 단순해 보여도 단순하지 않다? 수학 문제의 반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되새겨 볼 필요가 있겠어. 지금부터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를 위해 긴급회의를 시작한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폴리매스를 구하라! 단순 수학 문제를 향한 대격돌 Part1.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Part2. 폴리매스 히어로 회의 | 단순 문제를 어찌 하오리까!Part3.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고민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2017년 청소년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를 시작했습니다. 수학동아의 폴리매스는 점차 발전해 현재 폴리매스 홈페이지(www.polymath.co.kr)는 수학으로 소통하는 온라인 수학 놀이터가 됐죠. 단순 문제 논란, 폴리매스 세계를 위협하다?수학동아 폴리매스 ... ...
- [이달의 수학자] 존 내시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년 미국수학회로부터 리로이 스틸상을 받았고, 2008년에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죠. 2015년 5월 내시는 리만 다양체에 대한 연구로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아벨상까지 받았습니다. 조현병에 굴하지 않고 수많은 수학 업적을 쌓은 존 내시는 2015년 5월 23일 교통사고로 안타까운 ...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치료받지 못해 사망한 환자의 비율은 30.5%였어요. 권역외상센터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2017년에는 19.9%로 그 비율이 낮아졌어요. 하지만 이 비율을 10% 아래로 유지하는 의료선진국에 비하면 갈 길이 멀어요 ... ...
- [JOB터뷰] 본캐는 변호사! 부캐는 캣맘입니다! 채수지 변호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Q어떤 계기로 동물을 변호하게 됐나요? 20대 중반이었던 2015년, 강아지를 키우기 시작했어요. 그러면서 동물도 감정이 있고, 고통을 느끼며, 공감과 생각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지요. 반려견 덕분에 동물에 대한 새로운 세계가 열려서 여러 자료를 찾아보고 강의도 들었어요. 2015년 ...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차전지)라 불리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개발하는 KIST 에너지저장연구단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이곳에서 새로운 조력자이자 스승을 만나 재능을 펼칠 기회를 잡았다. KIST 에너지소재 공정연구실장이기도 한 이중기 UST-KIST 스쿨 교수는 엥가르 연구원의 지도교수를 맡아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 ...
- [수학뉴스] 심장 모양에 따른 기능 변화, 수학으로 예측한다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미세한 변화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에서 시작하는 대동맥 부근의 벽이 두꺼우면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내기 위한 근육의 긴장이 커져 심장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연구 결과를 이용해 만든 알고리듬은 심장의 해부학적 형태에 따른 심장 ... ...
- 기계학습으로 본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사람조차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확히 모르는 영역을 다루는 프로그램을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음성인식 AI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음성인식 AI는 사람이 어떤 문장을 말했는지 알아듣고 의미를 해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소리의 특징을 찾고 규칙을 찾아야 하는데요, 소리 데이터는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