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후 항공기와 광학기계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도 기술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 : 1972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관측 위성 (Landsat)이 발사된 이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이 활발해졌다. ... ...
- [이달의 과학사] 1932년 4월 4일 괴혈병을 막는 비타민 C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동물의 부신에서 분리한 ‘헥수론산’이 괴혈병을 막는다고 추측하고, 1930년부터 실험을 시작했어요. 비슷한 시기, 미국의 생화학자인 찰스 글렌 킹도 같은 실험을 진행했죠. 둘은 모두 기니피그를 대상으로 실험했는데,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와 기니피그만 체내에서 비타민 C를 생산하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나만의 룰렛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수학적으로 증명했어요. 주사위 게 임에서 이기기 위해 확 률을 수학적으로 연구 하기 시작한 거예요! 그때부터 이어진 수학 자들의 연구를 통해 지금의 확률과 통계 이론의 바탕이 마련 되었답니다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가짜뉴스,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 7화에선 가짜뉴스가 왜 퍼지게 됐는지 이유를 설명해 드립니다! ‘선풍기를 틀고 자면 죽는다’는 이야기 들어본 적 있나 요? 이 말을 듣고 더운 여름에 선풍기를 틀고 자다 봉 변을 당할까 봐 잠을 ... ...
- [기획] ESG 성적,과학적으로 매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소비자가 사용하고 재활용하는 단계까지 모든 과정에서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기 시작했어요. 이런 탓에 금융기관도 환경에 덜 유해한 기업에만 돈을 빌려주는지 평가를 받아요. 이는 금융부터 체질을 바꿔 저탄소 경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동의가 국제사회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랍니다 ... ...
- [매스미디어] 라켓소년단의 1승의 비결은 경우의 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4명! 해체 위기의 해남서중 배드민턴부를 지키기 위한 ‘라켓소년단’의 무모한 도전이 시작됩니다! 근데단체 1승은 어떻게 할 수 있죠? ‘머릿속엔 온통 야구뿐이고 우상은 대투수 양현종 선수였는데, 갑자기 땅끝 해남으로 가라고요?’서울에서 16년 동안 머물면서 중학교 야구부 에이스로 ... ...
- [수담수담] 몸으로 느끼는 수학은 좋은 기억을 남겨요-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수석 교사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손 선생님은 학생들이 수학을 익숙하게 느끼도록 수업 시작 전 10분 동안 수학 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수학과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로 이루어진 책을 매일 2~3쪽씩 소리 내어 읽는 프로그램입니다. 한 번은 모의고사 국어 지문에 함께 읽은 내용이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박수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남한강 본류 시작지점(분계선)에서 50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차이가 50m 정도가 되는데, 이 사이에 중간중간 평탄면이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때보다 3배가량 늘어났다. 머리를 가누고, 다리에 힘을 줘 똑바로 서고, 소리도 듣기 시작했다.이제 사람에게 각인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했다. 야생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사람에 대한 경계심을 키워야 한다. 박제된 수리부엉이를 어미 대신 새끼 계류장에 넣어줬다. 잔인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 ...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했던가. 영상이 차곡차곡 쌓여가며, 사람들에게 ‘과학쿠키’라는 채널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평소와 같은 방식으로 올렸던 ‘대체 빛의 속도를 어떻게 알아냈을까?’라는 이름의 영상이, 일주일 만에 무려 30만 조회수를 찍으며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이었다. 300~500명밖에 되지 않았던 구독자 수가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