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되풀이
중복
순환
거듭
회귀
재발
2중화
d라이브러리
"
반복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마침내 신비로운 줄리아 집합의 모양을 컴퓨터로 시각화했다. 그 안에도 무한히
반복
되는 구조 속에 자기유사성이 켜켜이 쌓여 있는 프랙탈이 숨어 있었다.만델브로는 컴퓨터로 시각화한 신비한 프랙탈 이미지와,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낸 프랙탈의 원리를 더해 1982년에 ‘자연의 프랙탈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1 사이의 실수로 만들어진 집합이다. 칸토어 집합을 만들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 과정을
반복
해야 한다. 공간과 차원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다른 수학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해 다른 학문에도 큰 영향을 미쳤어. 프랙탈 차원의 정의 덕분에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은 물론 과학 분야와 의학 분야 ... ...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박보석 교수가 바로 그다. 프랙탈 아트계에서 인기 작가로 잘 알려진 박 교수는 무한히
반복
되는 프랙탈의 매력에 푹 빠졌다고 한다. 프랙탈이 주목받지 못하던 1990년대 초, 프랙탈에 대한 박 교수의 열정은 아무도 막을 수 없었다.프랙탈을 그릴 수 있는 프로그램 설명서를 구하기 위해 일본으로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공책에 붙이는 시간이 따로 있다. 수업시간이 50분이지만 풀 붙이기나 문제 풀이를
반복
해서 하기 때문에 실제로 배우는 내용은 우리나라보다 적다.✚영국의 교육 프로그램영국은 만 5세에 초등학교 1학년을 시작한다. 만 7세에 입학하는 우리나라보다 2년이 빠른 셈이다. 초등과정 6년을 마치면 1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별로 없는 북극의 혹독한 환경에서도 비디오 판독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과 같은
반복
적인 작업을 장시간 해야 한다. 그러다보면 꼬마요정들이 일을 거부하고 반란을 부릴 수도 있다.이런 일을 막기 위해 산타는 처음부터 근면하고 온순한 꼬마요정만 골랐다. 그런 다음 산타는 복제를 통해 나머지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마이크론 크기의 물방울을 흘렸더니 물방울이 증발한 폴리머만 남아 벌집 모양의
반복
적인 패턴이 형성됐다. 리머가 비교적 높은 밀도로 응집해 있는 가장자리는 광자를 흡수하고 전하가 흐르는 성질이 어났다. 반면 중앙부는 이런 성질이 떨어지는 대신 폴리머의 응집 비율이 낮아 투명했다.이 ... ...
프랙탈 수학자 '만델브로' 별세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부서진’이라는 뜻의 라틴어 ‘프락투스(fractus)’ 를 변형해 만든 단어로 불규칙하게
반복
되는 현상 속에서 규칙을 찾습니다. 만델브로는 1967년 영국의 해안선 길이를 재는 방법에 관한 논문을 쓰면서 처음으로 프랙탈 개념을 이용했습니다. 구불구불한 해안선을 보면서 부분 모양이 전체와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제대로 결합한 구조만을 분리해 낸 뒤 그 다음 반응으로 넘어간다. 이런 일이 수십 회
반복
되면서 항암제인 탁솔 같은 복잡한 유기분자가 만들어지는 것이다.망치와 삽, 톱 같은 도구의 발명이 집짓기를 훨씬 쉽게 했듯이 원하는 분자구조를 쉽게 만들어주는 화학반응법의 개발은 다양하고 복잡한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들어지는 지진해일은 파도라기보다는 거대한 물 벽에 가깝다. 일반 파도는 여러 차례
반복
적으로 해안에 밀려오는 반면, 지진해일은 물 벽을 높게 유지하면서 다가와 해안이나 방파제를 한 순간에 덮친다. 2차원 단면수조는 이런 물 벽을 3cm까지 만들 수 있는데, 이는 실제 바다에서는 5~10m 높이에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내용에서 어려운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그러므로 특히 습도와 구름에 대한 개념은
반복
적으로 공부해야 한다. 일기도를 읽는 문제는 태풍과 전선을 중심으로 자주 출제된다. 또한 일기도 기호, 일기 속담 문제는 일기 관련 단원에서도 변별력 있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또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