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도시의 쌍은 18쌍이어서 218가지 경우를 고려해야 최적인 최대 용량을 구할 수 있는데, 계산해 보니 최적인 L은 50이었고, L*=39, D=10이어서 L≤L*+D라는 식은 틀렸던 것입니다.이처럼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망 문제는 산업 현장의 문제를 수학자의 도움으로 해결한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앞으로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이 만들어졌다. 컴퓨터의 성능도 획기적으로 좋아져 복잡하거나 계산의 양이 매우 많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측정 장치의 발달로 다양한 응용문제가 역문제 형태로 나타나면서, 역문제는 수학의 중요한 한 분야로 자리 잡았다.자연은 이미 역문제를 알고 ...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알았던 가우스 아저씨가 천문학에도 뛰어난 사람이었다니 놀라워요.”“세레스 궤도 계산 이전에는 수학에서 훨씬 많은 일을 했지. 마왕이 나를 잡아 온 이유기도 하고.”“어떤 게 마왕의 심기를 건드렸던 걸까요? 아하! 정17각형 작도법을 발견한 거요?”“그것보다도 2000년이 넘도록 당연하게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없어 모두 깜짝 놀랐습니다. 이 결과에 대해 모둠원들은 보폭과 속력을 여러 번 재서 계산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여러 번 시도해야 비교적 정확한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알게 됐네요!Math Tour 세 번째 이야기는 피보나치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입니다. 과연 올레 안에서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찾아낼 수 없다. 어떤 이들은 그래서 알파고와 심층 신경망이 지능이 아니라 커다란 계산기라고 폄하하기도 한다. 심층 신경망은 단순히 많은 데이터 속에서 유사성을 찾아내는 것이고, 유사성을 넘어 독창적인 개념과 추상화를 하는 것이 인간지능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필자도 알파고를 인간에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동전을 네 번 던져봤는, 네 번 모두 앞면이 나왔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유의확률을 계산할 차례다. 앞서 정의한 내용에 따라, 유의확률은 ‘영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관측된 데이터와 동등하거나 더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이다. 영가설이 참이라고(동전이 공평하다고) 가정했을 때,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을 촬영했다. 영상에 나타난 활성도 신호로부터 인지와 후각을 담당하는 영역의 부피를 계산해 나이가 같은 개들끼리 비교했다.그 결과, 후각 탐지 능력을 좌우하는 전두엽과 후각망울, 소뇌, 시상의 부피가 일반 개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뇌의 부피도 일반 개는 약 7만 7000mm3인 데 비해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두개골 뼈가 붙어 있는 정도를 분석해 사망자의 나이를 추정하거나 팔과 다리뼈로 키를 계산해 내기도 하죠. 척! 보면 동물뼈인지 사람뼈인지 안다?!2012년 6월, 수원지방검찰청은 끔찍한 살인을 저지른 오원춘의 집을 조사하던 중 뼛조각 11개를 발견했어요. 당시 수사관들이 뼛조각을 자세히 분석한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간 세상과 이페르를 잇는 길을 보호하기 위해 마법 퍼즐을 풀기로 합니다. 이 퍼즐은 계산만 잘 한다고 풀 수 있는 것도 아니랍니다. 이페르에서 수학을 가장 잘 하지만 엉뚱하고 실수도 많은 조르바는 과연 노력과 끈기로 마법 퍼즐을 풀 수 있을까요?참고 : 샘 스톨의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싶으니까 조금 더 해야지’라고 생각하다가 결국 수학자가 된 것 같아요. 만약 미래를 계산했으면 수학자를 안 하지 않았을까 싶어요.공동연구를 많이 하실텐데, 각자 문제에 대한 이해 수준이 다르면 힘들지 않나요?아직 아무도 푼 적이 없는 문제를 풀려고 모여서 생각을 나누다 보면 서로 다른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