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51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팰컨9' 발사 중지 조치, 한국에도 '불똥'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의 소행성 방어 임무인 '헤라'에 한해서만 발사를 허용한 상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당국은 가장 최근에 발생한 오작동이 올해 팰컨9의 2단 로켓이 일으킨 두번째 문제라는 점에서 2단 로켓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발사 재개에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 ...
매운 음식에도 플라시보 효과…맵지 않을까 걱정하면 더 고통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나타났다. 루오 이 중국 화동사범대(ECNU) 심리학 및 인지과학부 교수와 케네스 키시다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의과대학 신경외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매운맛 자극이 인간의 긍정적·부정적 기대감에 따라 신경반응, 주관적 경험을 다르게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8일(현지시간) ... ...
[노벨상 2024] 자신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한 '딥러닝 대부' 힌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인공신경망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서섹스대에서 연구를 하던 중
미국
으로 건너가
미국
샌디에이고캘리포니아대와 카네기멜론대에서 연구를 지속했다. 이때부터 힌턴의 AI 연구가 폭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다. AI 발전사에서 보면 1980년대와 1990년대에 AI 연구가 뚜렷한 연구혁신을 내지 못한 ... ...
[노벨상 2024]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물리학상 영예(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고안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존 홉필드(91세)
미국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교수, 제프리 힌턴(77세)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를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인공신경망을 통한 기계학습을 가능케 한 기초적인 발견을 한 공로 ... ...
[노벨상 2024] 인공지능 핵심 '머신러닝' 토대 구축한 과학자 2명 물리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8일 202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존 홉필드(91)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턴(77) 캐나다 토론토대 컴퓨터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두 연구자는 인공지능(AI)의 기본으로 여겨지는 머신러닝 발전에 물리학을 활용해 기여했다. 존 홉필드 교수는 ... ...
[노벨상 2024] 물리학상에 존 홉필드, 제프리 힌턴 (1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존 J.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컴퓨터학과 교수. 위키미디어 제공 ...
윤영빈 청장 "현재 우주청 인력 NASA 10분의 1…국가 주력산업에 도전할 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주력산업에 도전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
미국
과 중국, 특히 중국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기 위해 우주산업에 국가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한국이 뒤처지지 않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겠냐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국내 우주항공산업 ... ...
[사이언스영상]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이유
SEIZE
l
2024.10.08
Outreach 2024 노벨 생리의학상은 빅터 앰브로스
미국
매사추세츠 의대 교수와 게리 러브컨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10월 7일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발표 첫날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가 두 사람을 수상자로 호명했다. 도대체 누구길래 노벨상을 받는지 궁금해할 팔로워들을 ... ...
"몇살까지 살까"…인간 기대수명 증가세 꺾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도달할 것으로 예측돼 기대수명이 가장 높았다. 한국은 평균 3%대, 일본은 5% 정도였다.
미국
은 약 2%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1세기에도 급격한 수명 연장이 일어났거나 일어날 것이라는 증거는 없다"며 "만약 일어난다면 광범위한 제도적 변화가 일어나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화를 ... ...
[노벨상 2024] 암·신경질환 열쇠 'miRNA' 발견 앰브로스·러브컨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단일가닥염기 20여 개로 이뤄진 ‘마이크로 RNA(microRNA)’를 발견한 빅터 앰브로스
미국
메사추세츠 의대 교수(71세)와 게리 러브컨 하버드대 의대 교수(72)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다세포 생물의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RNA를 발견한 두 명의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