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51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영구동토층 녹으면, 강둑 침식률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2
1만년간 강의 이동 수준을 수치 시뮬레이션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에밀리 C 게이먼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질·행성과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새로운 계산 방법을 개발해 영구동토층이 강의 흐름에 미친 영향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영구동토층은 토양 온도가 2년 이상 ... ...
[동물do감] 열 견디는 잠자리, 짝짓기에 유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수 없었던 잠자리는 높은 열에 적응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는 분석이다. 노아 리스
미국
피츠버그대 교수 연구팀은 날개에 어두운 색을 띠는 형태로 성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잠자리 종의 수컷이 실제 고온에 더 강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동물행동학의 첨단(Frontiers in ... ...
유전자 치료의 딜레마, 뇌질환 치료했는데 암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치료법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점이 확인됐다. 지난 202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국
블루버드 바이오사의 부신백질이영양증 치료제인 ‘스카이소나’ 사용을 승인했다. 연구팀은 이 치료제를 적용한 두 임상시험에 참여한 남아 중 10%가 혈액암에 걸렸다는 점을 확인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인공지능과 물리학의 경계를 허물다
2024.10.11
그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필자 소개 유창동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공학응용학과를 졸업하고 코넬대와 메사추세츠공대에서 각각 전지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통신(KT) 연구개발본부 선임연구원을 거쳐 KAIST에 임용된 뒤 ... ...
"AI 과대광고에 당했나"…노벨 과학상 몰아준 AI 둘러싼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아니라 레이저나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등 실용적인 '발명품'에도 상을 수여해 왔다.
미국
과학 작가인 아닐 아난타스와미는 "때로는 아주 훌륭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 상이 수여되기도 한다"며 "2024년 노벨상 수상은 이례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 ...
노벨상도 받았는데…AI 활용 신약 개발 험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길이가 길면 길수록 구조를 예측하기 어렵고 AI로 많은 데이터를 다뤄야 한다"면서 "
미국
의 경우 일종의 데이터 분석 장치인 GPU, CPU 등을 수백개씩 공동으로 관리하며 연구실이 자유롭게 쓰고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한국은 각 연구실이 수십 개의 데이터 분석 장치를 관리하는 경우가 ... ...
소행성에서 우주인 식량 얻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원료를 만드는
미국
스타트업 '비헥스'의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비헥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스핀오프한 기업이다. 연구팀은 폐플라스틱 대신 다른 물질을 이용해 식량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소행성에 주목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조슈아 피어스 웨스턴대 연구원은 "미생물의 ... ...
"다이어트와 식단이 수명 연장으로 이어지진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노화율을 감소시키는 데 큰 효과를 보이진 않는다는 분석이 제기된 것이다. 개리 처칠
미국
잭슨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약 1000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식단을 제한해 생리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식이요법이 노화를 늦추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 ...
당신의 운동 능력, 땀은 알고 있다…웨어러블 밴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관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10일 학계에 따르면 존 로저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연구팀은 아주 작은 양의 유체로 근육피로와 같은 신체 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지난달 발표했다. 연구팀은 적은 ... ...
[과기원NOW] KAIST, 국내 최초 인공위성 개발한 최순달 박사 추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물질 설계, 물질의 물성 예측에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AI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
미국
화학회지’에 지난달 25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봉훈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이봉재 기계공학과 교수, 이헌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가역적인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