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994~2006년 사이 퇴출된 의약품의 82%가 간과 심장에서 나타난 독성 때문이었다. 그 때문에 학자들은 다른 조직보다 우선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해 온전한 간세포와 심장세포를 만들고 있다. 박한진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모델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전세계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땐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습니다. 예측할 수가 없죠. 사실 이것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도 추측했을 정도로 아주 오래된 정설입니다.오늘날에는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무엇인가. 왜 협력을 시도하지 않는가. 왜 형제애를 발휘하지 못하는가.” 굴드는 과학자들이 이 문제에 관해 사회적 책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과학·인문학·예술을 가로질러 우리가 사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으려고 노력했다.그의 통찰은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는 여전히 환경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박사와 콘 박사, 인도 수학자 압히나브 쿠마, 미국 수학자 스티븐 밀러, 우크라이나 수학자 다뉠로 라드헹코 이렇게 5명이서 24차원 케플러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공개했습니다. 불과 1주일 만에 8차원을 풀었던 아이디어가 24차원으로 확장된 것이지요. 다음에는 어떤 차원의 문제가 해결될지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많이 들지요. 아직 완벽하게 연구를 설명할 쉽고 유용한 통계적 방법도 없고요. 하지만 과학자들이 노력하고 있으니 이 문제는 점차 좋아지겠지요.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매일 통밀빵 20개 먹으면 암 예방한다’, ‘아스피린, 하루 2알 먹으면 암 예방한다’와 같은 기사를 본 적이 있을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아이들의 ‘다중지능’을 키울 수 있는 놀이터에 관심이 많다. 다중지능은 미국의 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가 1983년에 사람의 지능을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한 데서 비롯됐다. 김 대표가 꿈꾸는 체험 놀이터에는 여러 가지 지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놀이가 있다.아이는 놀이터에 들어가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월호 시사기획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 끝에 서다’ 중 1파트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입니다”에서 일부 내용을 바로잡습니다. 38쪽 본문 중 ‘최연택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박사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선 비슷한 일을 해도 비정규직은 정규직 임금의 60% 수준밖에 못 받는다”고 말했다’는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최초 인터뷰2045년 10월 초 어느 밤. 전 국민을 안타깝게 한 사고가 발생했다. 천재 물리학자 A 박사가 퇴근 길 빗길에 미끄러지는 교통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은 것. 사고 이후 A 박사가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로 확정돼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안타까움을 더했다.반전은 그의 ...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관광지입니다.그런데 모나코는 사실 유서 깊은 해양과학의 나라이기도 합니다. 해양학자였던 알베르 1세가 모나코의 대공에 재임하면서 자신이 항해하며 수집한 해양생물들을 모아 1910년해양박물관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1959년에는 모나코의 왕자 레이니어 3세가 원자폭탄 실험에 따른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없지요. 오직 수학만 공부했는데, 유전체★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다 보니 유전학자로 이름을 알리게 된 것이지요.간게놈프로젝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렇게 5개국 연구진이 사람 유전자의 종류와 그 기능을 밝히기 위해 함께 연구한 것으로, 2003년 사람 유전자지도를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