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가 묵직한 건 그래서다. 세계적인 자연주의자이자 사회생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은 수 년 동안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고롱고사 국립공원을 드나들며 생태를 기록했다. 윌슨과 함께 고롱고사 국립공을 누빈 아프리카 코끼리의 대가 조이스 풀은, “나이 든 개체들은 물론, ... ...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질투가 큰 사람) 덜 이타적이라는 것이다. 아르쉬 데 베르커 UCL 연구원은 “경제학자들은 지금까지 사람마다 이타심이 다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며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정도”라고 말했다. 많은 천문학자들이 다양한 가설을 놓고 첨예하게 논쟁하고 있다.천문학자들은 앞으로의 10년을 고대하고 있다. 지난 50년간 관측 천문학이 비약적으로 발달했지만, 이런 노력을 비웃는 듯 AGN은 모습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 너무 먼 데다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김연구원은 “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검증이다.양자중력 이론으로 등가원리 위반이 나타날 구체적인 영역을 예측한 과학자들도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한슨실험물리연구소의 로날드 아들러 교수는 2006년 전자기력, 약력, 강력을 통일하는 대통일이론(GUT)의 질량 스케일(약 1016GeV)과, 중력과 관계있는 플랑크 질량 스케일(약 1019GeV)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결과를 낳았죠.”하대청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말했다. 과학사회학자인 그는 몇 년 전부터 국내 장기기증의 윤리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건강에 아무 이상이 없던 사람들이 오직 수혜자를 위해 큰 수술을 감내하는데, 정작 기증자는 수술 이후 삶의 질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각하는것이 즐거워요.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해 주기도 하죠.”세계적인 물리학자, 하버드대 교수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지만, 늘 모든 일이 성공적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그에게도 물리 공부는 어려웠다. 그는 특별히 공부를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독자들에게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갑자기 뱀파이어가 되어 나를 죽이겠다고 달려드는 상황은 상상만 해도 소름끼친다.과학자들은 겉모습은 무척 친근한데 속이 전혀 다르다는 걸 깨달았을 때 섬뜩함을 느끼는 심리를 ‘언캐니밸리 공포’라고 말한다. 사람과 닮았는데 사람이 아닌 존재는 우리의 정체성, 그리고 생존을 위협하기 ... ...
- [과학뉴스] 앙코르와트 인근서 지하도시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정글 지하에서 900∼1400년 전 번성했던 중세도시가 발견됐다. 호주의 고고학자 대미언 에번스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유적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인근 정글의 땅 아래에서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은 중세도시들을 발견해 ‘고고학 과학 저널’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레이저 ... ...
-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삼아 우주를 밝히는 활동성 은하핵 이야기다. 우주라는 거대한 망망대해를 탐험하는 천문학자들의 등불이자, 은하의 운명을 결정해 온 활동성 은하핵을 집중 조명했다.활동성 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i)보통 이상의 광도를 내는, 은하 중심의 매우 좁은 영역. 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언했습니다.‘똑똑한 뇌’보다 ‘건강한 뇌’에 주목하는 ‘브레인 식단’최근 학자들은 단순히 한두 종류의 브레인푸드가 주는 효과가 아니라 ‘식단’ 혹은 ‘식사 패턴’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일명 ‘지중해식’과 ‘스칸디나비아식’, ‘오키나와식’ 식단이 뇌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