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44년 만에 열린 달 광산... 재개장하는 이유는 화성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화성으로월석을 이용한 연구는 단순히 달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인류의 우주탐사에도
큰
공헌을 한다. 특히 달과 화성의 탐사와 인류 이주 계획에 월석 연구는 필수적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각각 2024년, 2025년 달에 기지를 건설하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 기관은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교수는 “공중을 비행하는 건 땅이나 물 위를 달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소형항공기의 경우 앞뒤로 움직이는 추력에 더해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양력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배터리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동시키는 모터는 맨 밑바닥에 있어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큰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 전류를 많이 흘리면 모터 드라이버가 타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흔히 사용하는 L298N 모터 드라이버 대신 많은 전류가 흐를 때 적합한 MDD10A란 모터 드라이버를 사용했습니다.한 사람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마찰대전 효과를 이용한 방식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마찰대전 방식은 압전 방식보다
큰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피부에 접촉하면 정전기가 발생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이 교수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 개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재미를 알려줬어요. 그래서 수학과 친해지고 싶은 친구들에게 는
큰
힘이 될 거예요. 를 보면서 수학과 친해지기를 바라요. 창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습득하고 SW에 적용해 효율을 크게 높였을 때 가장
큰
즐거움을 느낍니다. 3차원 라이다 센서 시장의 전망은 어떤가요?박재일, 쯔엉 민 3차원 데이터를 이해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만드는 연구자나 개발자의 수요는 이미 높습니다. ... ...
[이달의 우주날씨] 1월 4일 새벽 4시 별똥별이 쏟아진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진공 상태인데 어떻게 먼지가 생기는 걸까요? 비밀은 천체에 있습니다. 지구처럼 질량이
큰
천체는 중력이 강해서 천체를 구성하는 암석과 같은 물질을 우주 공간에 흘리는 일이 매우 드물지만, 소행성이나 혜성과 같이 질량이 작은 천체는 중력이 약해서 이런 물질을 우주 공간에 흩뿌리면서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그렇게 하지 않고
큰
구멍을 나무판 위쪽에 뚫으면, 작은 동전과
큰
동전 모두
큰
구멍에 빠져버리게 돼 동전을 분류할 수 없다”는 팁을 알려주셨답니다. 알아보자! 500원이야? 500엔이야? 동전을 구분하라! 1982년, 일본은 500엔 동전을 처음으로 발행했어요. 그 당시의 500엔 동전은 구리와 니켈을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구글은 알파폴드2를 통해 정밀도와 속도를 크게 높이면서 생명공학과 의학 분야에
큰
혁신을 가져올 것 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제13, 14차 CASP 대회에서 자문위원과 평가위원을 맡았던 필자가 알파폴드2의 정체와 그 가능성을 소개한다. 인간 몸 속에는 10만여 종의 단백질이 존재한다. 모든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모양과 진화 과정 등 은하에 대해 속속들이 알 수 있게 됐다. 허블우주망원경이 1995년
큰
곰자리의 일부분을 10일간 촬영한 자료를 정리한 허블 딥 필드 논문은 1500회 이상 인용됐다.1992년 최초로 블랙홀을 간접 관측한 것도 허블우주망원경이었다. 은하 M87의 중심부에서 태양 질량의 26억 배에 달하는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