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가칭) 등 연구기관까지 생긴다면 미래 세대를 위해 중요 유산을 보존하고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그는 고생물학 하면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뼈가 아닌 발자국 화석에 평생을 바쳤다. 로클리 교수는 “발자국 화석은 살아있는 동물의 증거로, 동물의 생전 움직임과 행동을 알 수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12.004 이번 연구는 한반도 최초, 동아시아 두 번째 운석충돌구의 존재를 밝혔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국내 여러 분지에 대해서 운석 충돌설이 있었지만,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 연구결과는 없었다. 현재 전 세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된 운석충돌구의 수는 200여 개다. 이 가운데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모양과 진화 과정 등 은하에 대해 속속들이 알 수 있게 됐다. 허블우주망원경이 1995년
큰
곰자리의 일부분을 10일간 촬영한 자료를 정리한 허블 딥 필드 논문은 1500회 이상 인용됐다.1992년 최초로 블랙홀을 간접 관측한 것도 허블우주망원경이었다. 은하 M87의 중심부에서 태양 질량의 26억 배에 달하는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교수는 “공중을 비행하는 건 땅이나 물 위를 달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소형항공기의 경우 앞뒤로 움직이는 추력에 더해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양력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배터리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동시키는 모터는 맨 밑바닥에 있어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큰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 전류를 많이 흘리면 모터 드라이버가 타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흔히 사용하는 L298N 모터 드라이버 대신 많은 전류가 흐를 때 적합한 MDD10A란 모터 드라이버를 사용했습니다.한 사람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재미를 알려줬어요. 그래서 수학과 친해지고 싶은 친구들에게 는
큰
힘이 될 거예요. 를 보면서 수학과 친해지기를 바라요. 창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습득하고 SW에 적용해 효율을 크게 높였을 때 가장
큰
즐거움을 느낍니다. 3차원 라이다 센서 시장의 전망은 어떤가요?박재일, 쯔엉 민 3차원 데이터를 이해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만드는 연구자나 개발자의 수요는 이미 높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살려준 실러캔스는 용왕님의 대선배입니다. 나이가 수억 살이나 많아서 용왕님도
큰
절을 올려야 하는 분이죠.” 꿀록 탐정이 상황을 설명해도 어부는 여전히 억울했어요. 그런데 그날 밤, 펑! 어부의 꿈속에 갑자기 실러캔스가 나타났어요.“그렇다면 나도 자네에게 구슬을 하나주겠네.”이 구슬은 ... ...
[과학동아 천문대] 이달의 우주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그 결과 빛과 열을 낸답니다. 별똥별을 만드는 우주먼지는 어떻게 생길까요? 질량이
큰
천체는 중력이 세요. 반대로 소행성이나 혜성처럼 질량이 작은 천체는 중력이 약해 천체를 구성하던 물질들이 떨어져 나가기도 해요. 작은천체가 흘린 먼지나 암석들이 스쳐지나가던 지구 중력에 끌려와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구글은 알파폴드2를 통해 정밀도와 속도를 크게 높이면서 생명공학과 의학 분야에
큰
혁신을 가져올 것 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제13, 14차 CASP 대회에서 자문위원과 평가위원을 맡았던 필자가 알파폴드2의 정체와 그 가능성을 소개한다. 인간 몸 속에는 10만여 종의 단백질이 존재한다. 모든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