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14.5일까지 배양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이 단계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이후
키메라 배아를 대리모 돼지의 자궁에 착상시켜 최대 70일 동안 키울 계획이다. doi: 10.1038/d41586-019-02275-3나카우치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실험은 키메라 배아로 특정 장기를 만드는 것을 ... ...
THE NOBEL PRIZE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리포트Part2.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Part3.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Part4.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Part5.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피터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는 1964년 이론적으로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했고 이는
이후
표준모형과 함께 물리학계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힉스 입자가 실제로 검출된 뒤에야 비로소 노벨상을 손에 쥘 수 있었다. LHC는 둘레만 27km에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장비의 정밀도가 합쳐진 쾌거라고 할 수 있다. 두 사람이 외계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한
이후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지구 바깥 궤도에 쏘아 올리는 등 세계적으로 외계행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고, 그 결과 현재까지 4000개 이상의 외계행성이 발견됐다. 노벨상위원회의 평가처럼 두 사람의 발견이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LiCoO₂)을 쓸 것을 제안했다. 이렇게 하면 전압을 4V 이상으로 높일 수 있었다.
이후
리튬망간산화물(LiMn₂O₄) 등 다양한 산화물이 양극 물질로 개발됐고, 이는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에도 활용되고 있다. 휘팅엄 교수가 개발한 리튬이온전지는 불안전성 문제도 있었다. 이는 폭발 위험이 있어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진출했습니다. 그곳에서 이해할 수조차 없는 고도의 문명을 접하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후
오랫동안 진보를 거듭했습니다.인류는 육체의 제약에서 벗어난 순수한 지성을 창조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런데 첫 번째 창조물은 미쳐버려서 은하계를 파괴하는 대참사를 일으켰습니다. 두 번째 시도는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 ...
전염병 가는 길 막는 수학모형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금지하는 차단 방역과 가상의 백신을 접종하는 방법을 사용했죠. 그 결과 첫 발병
이후
14일 내로 차단 방역을 철저하게 실시하면 약 74%의 돼지를 전염병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놀랍게도 발병 14일 전에 각 마을의 돼지에게 백신을 주사했을 때(65%)보다 지킬 수 있는 돼지의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교육을 받고 19살에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입학해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이후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천문학을 배웠습니다. 독일 할레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는 수학 연구에 집중해 기하학과 정수론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합니다. 실제로 뫼비우스의 띠뿐 ... ...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지진 양상을 분석한 결과, 두 지진에서는 뒤따르는 지진의 b값이 본진보다 작았으며,
이후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뒤따르는 지진이 여진이 아닌, 또다른 본진의 전진이었던 셈이다.이에 따라 연구팀은 b값의 변화를 기반으로 뒤따라오는 지진의 규모를 예측하는 신호등 시스템을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