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월 20일,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 판정을 받고 여러 언론에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기사를 내보냈다. 기사 내용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사실은 40%에 달하는 치사율. 세계보건기구(WHO)가 2015년 2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확진 판정을 받은 971명 중 356명이 사망했다. 계산 ... ...
- 안경점 주인 ‘수이비라 아리비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고된 탐정 업무에 지나치게 무리한 탓일까. 어느날부터 썰렁홈즈는 시력이 예전같지 않다고 느껴졌다.“아무래도 안경을 맞춰야겠어. 멋진 탐정 스타일로!”동네 안경점을 찾은 썰렁홈즈. 그런데 주인이 맞이하는 이 안경점, 무언가 느낌이 이상하다.“오! 썰렁홈즈님, 어서 오십시오~. 나는 안경점 ...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날이 더워지면 음식도 조심해서 골라 먹어야 한다. 상한 음식은 주저 없이 버리지만, 유통기한이 지났어도 멀쩡한 음식은 사실 버리기 아깝다. 하루이틀 정도 지난 건 먹어도 괜찮을 때가 많은데….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은 절대 먹으면 안 되는지 의심스럽다. 유통기한은 누가 어떻게 만든 걸까?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일반상대성이론이 과학자와 대중에 받아들여지는 과정은 그리 순탄치만은 않았다. 실증과정은 어려웠고 대중은 이상한 오해를 했으며, 인종차별로 이론이 탄압받는 사태도 벌어졌다. 이런 우여곡절을 거친 뒤에야 비로소 이론은 자리를 잡았다.일반상대성이론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매우 힘들다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내 입맛에 맞는 콘텐츠를 권해주는 소프트웨어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런 소프트웨어는 1990년대에 처음 등장했는데, 당시만 해도 단순히 가장 인기가 많은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불과 20년 사이에 추천 알고리즘은 급성장했다. 이젠 개개인의 취향을 ‘저격’하는 소프트웨어의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거대 글로벌 기업들이 인공지능 산업을 견인하는 현재, 국내에서는 어떤 연구가 이뤄지고 있을까.))) 6월 15 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글로벌 기업을 바짝 추격하고 있는 두 명의 과학자를 만났다. 이번 특집 기사를 준비하면서 말 그대로 ‘지겹게’ 들었던 인공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한 유명 소설가의 표절 논란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정치인들의 학위 논문, 유명 가수의 신곡, 대학 입학을 위한 자기소개서까지, 표절 논란은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다. 국내 최초로 한글 기반의 표절 검사 알고리듬 ‘디박(DeVAC)’을 개발한 조환규 부산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라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간을 거슬러 30년 전 고등학생 박종화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프로그래밍을 좋아했던 부산출신의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 ... ...
- 우주에서 허드렛일 하는 로봇, NASA 최고의 발명품 뽑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허드렛일을 대신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로보너트2(R2)’가 6월 1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선정한 2014년 최고의 발명품’으로 뽑혔다. NASA와 제네럴 모터스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R2는 상체만 만들어진 상태로, 2010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처음 보내졌다. R2는 350개의 센서가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월 초 세상에서 가장 위험천만한 ‘배달 사고’가 발생했다. 경기도 오산에 있는 한미합동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이 배송된 것. 탄저균은 치사율이 80%가 넘는 생화학 테러 물질이다. 치사율이 10% 안팎(6월 말 대한민국 기준)인 메르스 바이러스와는 독성이 비교도 안 된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