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네가 게임 줄거리를 적어.”“일단 공책에 정리한 다음에 한꺼번에 판넬에 옮기자.”지난 7월 11일 새롭게 출발한 게임카페 1기 참가 독자들이 첫 수업을 위해 모였습니다. 메르스 사태 때문에 한 달이나 늦게 시작한 탓인지 평소보다 더 열의에 넘쳐 있었지요.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님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은 브릭 하나도 정밀하게 계산해서 만든 작품이라고 생각하니, 모든 게 새롭게 보인다. 이제 겨우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겠다 싶었는데, 아뿔싸…. 이번엔 더 어려운 주제다. 뭐? 브릭이 전문 연구에도 활용된다고?! 조각을 모아 창작품을 만드는 브릭의 기본 정신은 수학과 비슷하다 ... ...
- [참여] 열쇠로 상자 열고, 수학으로 퍼즐 풀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장마가 시작돼 하루 종일 비가 내리던 어느 날, 열쇠·수학 체험전을 찾아 국립광주과학관을 방문했다. ‘만물을 여는 열쇠, 수학’ 여름방학 특별 체험전에서는 조상들이 쓰던 열쇠는 물론 수학을 접목해 만든 예술작품도 만날 수 있다. 열쇠와 수학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독자기자들이 전해 주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막상 브릭의 세계에 입문하려고 하니, 그들만의 용어가 발목을 잡는다. 납작한 브릭, 뚱뚱한 브릭, 볼록 튀어나온 부분, 움푹 들어간 부분이라고 말하고 다녔는데…, 오 마이 갓! 각 부분마다 부르는 이름이 따로 있었다. 브릭의 기본 알기!브릭 윗면의 볼록 튀어나온 부분은 ‘스터드’라고 부른다.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학 천재는 수학을 잘 해 항상 행복할까? 적어도 시험 점수로 스트레스 받는 일은 없을 것 같다. 수학에 빠진 소년 ‘네이든’은 인생 최고의 목표인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다. 그런데 사랑과 죽음처럼 수학으로 이해할 수 없는 문제가 앞을 가로막는다. 네이든이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가 맞받아쳤다. “어떤 종류의 인공지능인가요? 인공지능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직 용어도 제대로 정리돼 있지 않거든요. 연구가 아직 초창기라는 뜻이에요. 터미네이터의 등장이라면…, 모른다고 얘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로봇은 자의식을 가질 수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광섬유 ㆍ스마트폰 여기 혹시 인터넷 안 써보신 분 있으신가요? 이곳은 인터넷을 통한 광통신 기술을 소개하는 전시실입니다. 광통신은 오늘날 모든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죠. 대한민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95%가 넘지만 아프리카의 경우엔 10%가 채 안된다고 해요. 같은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과학동아가 미국으로 날아갔다. 세계적 재난로봇 대회에 참가한 우리나라 로봇 연구진의 활약을 두 눈으로 지켜보기 위해서다. 대회는 6월 5~6일(현지시간) 이틀 동안 미국 캘리포니아주 퍼모나시의 복합경기시설 ‘페어플렉스’에서 열렸다.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DRC)’란 이름이 붙은 이 대회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좋은 의도가 항상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적어도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에 얽힌 전통 과학은 그랬습니다. 실록은 우리가 세계에 자랑하는 세계기록유산이자 대표 기록문화유산입니다. 조선시대의 역사서로 정치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 학문 등 전 분야에 대해 자세한 자료를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다음 영상부터 보자(아래 QR코드).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만약 30~40대라면 아마 이 화면에 익숙할 것이다. 골목마다 오락실이 아이들의 발길을 붙잡아 이끌던 시절, 많은 이들이 즐겼던 벽돌 깨기 게임이다. 화면 속 게이머는 처음엔 익숙지 않은 듯 실패를 거듭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력이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