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냄새도 짙게 남아 있어, 그 길을 처음 다니는 개미들에게도 최단거리를 알려 주는
셈
이 된다.1992년 일본의 수학자 마르코 도리고는 수학을 이용해 개미들의 이러한 습성을 알고리즘으로 만들었다. 이 알고리즘의 목표는 ‘최단거리를 찾는 것’이다.도리고는 가장 먼저 미분을 이용해 페로몬이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설비용량은 1기가와트다. 즉, 아이언맨은 가슴에 울진 원자로를 최소 3기는 박고 있는
셈
이다.이런 장치를 현실에서 볼 수 있을까? 소형 아크 원자로는 전기적 반응을 이용해 핵융합 에너지를 얻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뀌면 엄청난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얼룩은 나중에 우주의 거대한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우주의 역사를 담은 ‘지문’인
셈
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 이론을 관측으로 검증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온갖 복사에너지가 넘쳐나는 지구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학자들은 우주로 섬세한 탐사선을 보내 이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은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바로 붓으로 그린 전선이다. 물감으로 전기회로를 만드는
셈
이다.이 방식은 교육적 효과도 좋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한 새뮤엘 제이코비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아이들의 상상력에 나도 놀랐다. 개구리가 알부터 성장해서 다시 개구리 알을 낳는 순환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크고 위로 곧게 선 이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람다운 머리와 얼굴이 화석으로 확인된
셈
입니다.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 손색이 없었죠. 이제 ‘호모 하빌리스’는 명실상부한 최초의 호모 속으로 인정 받는 듯 했습니다.하지만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았습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이후에도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입력한다. 원숭이가 하루 8시간 노동을 한다고 하면 하루에 8×360=2880번 네 글자를 친
셈
이다. 따라서 456,796을 2880으로 나눠 주면 love를 치기까지 걸리는 최대 날 수가 계산된다. 바로 159일이다. 만약 원숭이 여러 마리를 이용해 ‘I love you.’를 한 번에 치려면 몇 마리가 필요할까? 이를 위해서는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상당히 유사했어요. 실시간으로 독감 바이러스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알 수 있게 된
셈
이죠.데이터 과학이 의학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탕은 무엇인가요.인간 게놈을 분석하면 데이터 용량이 약 5테라바이트(TB)가 나옵니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데이터 생산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했습니다.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20만 만들어지고 80이 열 에너지로 바뀌는 거지. 에너지 효율이 20%밖에 안되는
셈
이야. 영구기관은 에너지 효율이 100%야. 이게 얼마나 대단한 거냐면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에너지 효율을 50%도 못 만들어. 바꿔 말하면 영구기관을 개발하는 사람은 돈과 명예를 동시에 얻는 ‘대박’을 낼 수 있는 거야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하루에 10여m 정도 움직여보면서 점점 거리를 늘렸다. 먼 길을 떠나는 첫 발걸음인
셈
이었다.큐리오시티의 첫 목표는 착륙 지점에서 400m 떨어진 ‘글레넬그’라는 곳이었다. 세가지 지형이 교차하는 곳으로, 글레넬그(Glenelg)라는 이름을 붙인 데는 재미있는 이유가 있다. NASA의 과학자들은 큐리오시티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호버그 교수와의 공동 연구 결과가 실제로도 맞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셈
이다. 사자촌충, 인류 역사 새로 밝힐까이를 바탕으로 어떤 연구를 할 수 있을까. 인류 진화와 이주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시아 일부와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아시아촌충과 민촌충 연구 결과를 보면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