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약 1.6TB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동시에 85,000장이 넘는 분석과 예상 일기도를 그리는 셈이죠. 이렇게 복잡한 수치 계산을 바탕으로 날씨를 예측하는 걸 ‘수치예보’라고 불러요. 앞서 말했던 날씨를 예측하는 함수를 ‘수치예보 모델’이라고 부르죠.그런데 날씨는 시공간에서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식으로 바꿀 수 있다. 즉 제타함수는 모든 정수와 모든 소수를 연결하는 불가사의한 식인 셈이다. 그런데 리만가설이 참이라면 제타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함숫값이 0인 점들이 모두 일직선에 나타나게 된다. 이건 불규칙하게 등장하는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수학에서는 어떤 ... ...
- 해양학 - 해수욕 때, 상어 꼬리 주의하세요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공격할 때는 순간적으로 -30°까지 구부렸다. 불과 0.39초 만에 허리를 약 150° 꺾는 셈이다.환도상어가 사냥할 때 꼬리 움직임은 초속14.03m로 나타났다. 꼬리가 길수록 속력이 더 빨랐고, 최고 속력은 무려 초속 30m가 넘었다. 그리고 최고 속력을 내는 순간에는 물속에서 공기방울이 생길 정도로 꼬리 끝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발견했답니다. 즉 빙하가 물러난 땅에 가장 먼저 자리를 잡는 식물이 자주범의귀인 셈이에요. 자주범의귀는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는 땅위를 기는 형태로 많이 자라요. 안정적인 서식처에서는 곧게 선 직립형으로 자라죠. 환북극 동토층에서 빙하가 최근 후퇴한 지역에는 기는형의 자주범의귀가 주로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는 인류 진화의 역사를 밝힐 ‘시계’였는데, 그게 눈금이 부정확한 시계가 돼버린 셈입니다.중립설이 부딪힌 더 큰 비판은 따로 있었습니다. 중립설은 비번역 DNA부분의 돌연변이가 개체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는 가설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돌연변이가 개체의 삶과 번식(재생산)에 ... ...
- [화보] 수학으로 질주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들면 스플라인 함수가 된다. 즉, 여러 개의 고차다항식 곡선을 부드럽게 이어나가는 셈이다. 이때 최고차항의 차수가 높을수록 곡선은 둥근 모양이 된다. 스플라인 함수는 자동차 디자인을 모델링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보통 자동차를 디자인할 때는 먼저 클레이(점토)로 모형을 만들어 본다.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그림을 말한다. 다시 말해 3차원 입체도형은 모두 2차원 평면도형에 기초를 두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평면과 공간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제대로 된 전개도를 그릴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입체도형은 전개도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한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예선을 거쳐 모두 7개 팀이 출전 자격을 받았다. 세계 로봇공학계의 ‘종결자’들인 셈이다.7개 팀은 DARPA에서 180만 달러(약 21억 원)의 연구비를 받고 그동안 재난구조로봇을 개발해 왔다. 6월 중순 DARPA에서 중간점검을 받았는데, 7월 11일 발표해 2팀을 떨어뜨린다. 살아남은 5개 팀은 120만 달러(13억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2 퍼즐도 뭉치면 쉽다앞서 소개한 개미의 수 세기와 간단한 셈 능력은 기본적인 수학 능력이다. 물론 우리 인간이 보기에는 초보적인 수준이며, 엄밀히 말해 수 세기보다는 거리나 양을 측정하는 능력에 가까울 수 있다. 하지만 개미 한 마리가 아니라 개미 집단이 되면 그 수준은 크게 올라간다. ... ...
-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이 꿈이다. 최 군에게 항공로봇비행단은 아마추어에서 프로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판인 셈이다.3학년 홍영기 학생은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곳까지 갈 수 있는 소형 무인 비행기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궁극의 무인 비행기를 만드는 것이 꿈이다. 이를 위해 비행기술을 익히는 것은 물론 비행기에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