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으로 10배 빨리 범인 찾는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2018년 무려 40년 동안 잡히지 않았던 미국의 연쇄살인범이 검거됐어요. 바로 현장에서 발견된 유전자와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의 계보를 조사해 사건의 범인이나 신원이 불명확한 피해자를 찾는 ‘포렌식 유전계보학’ 덕분이었지요. 하지만 이 방법의 문제점은 계보를 따라 범인이 소속될 ... ...
- [과학뉴스] 핫하다 못해 뜨거운 망 사용료 법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발생량은 34.3%로 전체 트래픽 발생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국내 콘텐츠제공업체들은 2016년부터 이미 트래픽에 따른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네이버는 2017년 1141억 원을 망 사용료로 지불했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런 망 사용료 개념을 찾아볼 수 없다. 대부분이 인터넷 접속료만 지불할 뿐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뉴저지주립대, 서울대, 일본 KEK, 미국 메릴랜드주립대 등에서 연구원 생활을 했다. 2014년부터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에 몸담으며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실험에 쓰이는 결정을 개발하고 있다. mhlee@ibs.re ... ...
- [논문탐독] 큐브샛의 동력원 태양전지판을 지켜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2는 조선대 연구팀과 항공우주 분야 기업들이 모여 개발한 6U 규격의 큐브샛입니다. 2022년 6월 누리호에 탑재돼 발사와 상태정보 수신에 성공했죠. 이 큐브샛의 임무는 백두산 천지 관측, 산불 탐지 등 지구관측입니다. 큐브샛에는 전자광학, 장적외선, 중적외선 카메라, 영상 압축 및 송신 모듈 등 ... ...
- [이달의 책]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잘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현장 탐사는 물론, 논문 수만 페이지를 살폈다. 그 결과물이 세상 밖으로 나오기까지 10년이 걸렸다. 책에는 아르디를 발견하기 전후 벌어진 이야기가 드라마틱하게 펼쳐져 있다.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법과 싸우는 법, 인간의 편견부터 아프리카 부족 제도까지도 엿볼 수 있다. 그래서인지 책을 읽다 ... ...
- 2022 노벨 화학상 I 복잡한 화학반응 ‘클릭’ 한 번으로 이뤄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유기화학으로 석사, 서울대에서 고분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고 현재는 포스텍 화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hyunseokchem1@gmail ... ...
- [특집] 4교시 "바다와 사람을 존중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서퍼들은 서프보드로 위험에 빠진 해수욕객을 구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어요. 2019년부터 우리나라 ‘서프구조대’는 해양경찰청의 승인을 받아 강원도, 포항, 부산에서 민간자격으로 활동을 시작했어요. 서프구조대 대장도 겸하고 계신 이승대 대표는 “바다에서 구조가 필요한 대부분은 이안류에 ... ...
- [기획] 일회용컵 보증금제,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다는 목소리가 커요. 이런 바람과는 반대로 일회용컵 사용량은 늘어나고 있죠. 2008년 3500여 곳이었던 카페와 제과점, 패스트푸드점 수는 2018년 3만여 곳이 됐어요. 여기서 사용되는 일회용컵 수도 2007년 4.2억 개에서 2018년 25억 개로 급증했지요. 반면에 각 매장이 컵을 돌려받은 회수율은 ...
- [현장취재] 올해로 10살!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사실도 특별하지만, 올해는 무엇보다 여러분과 드디어 만날 수 있어 기대가 남달라요!”10년째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을 맡고 계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 역시 대원들과 함께할 현장 탐사에 대한 기대가 컸어요. 2부에서는 지구의 날을 맞아 대원들이 사전에 올려준 ‘지구의 ... ...
- [멍냥과학] 반려견의 풍부한 표정, 비결은 사람 닮은 얼굴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개와 늑대의 얼굴 근육을 비교해서 개 얼굴의 특징을 확인했어요. 개는 약 3만 년 전 인간이 야생 늑대 중 일부를 선택해 기르고 번식시키면서 늑대에서 개로 진화했다고 추정돼요. 연구팀은 개와 늑대가 유사한 점이 많지만, 사람과의 소통에 큰 차이가 있는 이유는 표정 때문이라고 생각했어요.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