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지어질 해저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Part1.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Part2. [특집] 해저 도시 로봇이 짓는다Part3.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Part4. ... ...
- [특집] 미래의 생활 공간 해저 도시 속 생활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이후 2032년까지 2단계로 수심 100m에 50명이 지낼 ‘대수심 해저 공간’을 짓고, 2041년엔 3단계인 100명을 수용하는 ‘자립형 해저 대공간’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죠.해저 도시와 더불어 해저 드론, 해저 택시와 같은 수중 운송 수단이 발전되면 해저 탐사가 일상이 될지 몰라요. 해저 도시 ... ...
- [이달의 과학사] 1848년 6월 13일 사무엘 모스, 모스부호의 특허를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미국의 예술가이자 발명가인 사무엘 모스가 전신 기술을 위해 만든 통신 언어입니다.1830년대, 먼 거리에서도 연락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인 전신이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두 지점을 연결한 전선을 통해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기술이죠. 당시 가장 빠른 통신 수단은 말이나 비둘기를 이용하는 ... ...
- [기획] 셰프의 손맛을 그대로~ 인공지능으로 요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음식 상태를 분석해 목표로 하는 맛이 얼마나 표현되었는지 알려줍니다. 한편, 2020년 우리나라 통신 기업 KT는 음식 사진을 찍으면 인공지능이 어떤 음식인지 분석해 식사의 열량과 영양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앱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식이 조절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사진 한 장으로 식단을 ... ...
- 유니콘처럼 특별해! 우리나라 ‘유니콘기업' 18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따르면 우리나라 유니콘기업의 수는 2017년 3개에 불과했지만, 4년 동안 15개가 늘어나 2021년에는 18개가 됐어요. 2021년 한 해 동안 유니콘기업이 된 회사는 모두 7개예요. 집을 사고파는 온라인 시장인 ‘직방’, 음식이나 물건을 사면 새벽에 배달해 주는 회사 ‘컬리(마켓컬리)’, 쓰던 물건을 . ...
- [특집] 체스 천재님, 비결을 알려주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5학년 때 처음 배우기 시작해, 체스 대회에 나가고 공부도 하면서 실력을 쌓았어요. 2019년에 세계체스연맹에서 인정하는 IM(국제 마스터) 타이틀을 얻었고, 올해엔 ‘체스계의 올림픽’인 체스 올림피아드와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국가대표로 나서게 됐습니다. 우와~! 저에게도 비결을 전수해주세요 ... ...
- [출동! 슈퍼M] 축구공을 알면, 첨단 과학이 보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첨단 과학 기술이 꼭 필요해요. 역대 공인구에는 어떤 첨단 기술이 쓰였을까요? 1970년 공인구 ‘텔스타’의 모양을 이루는 구조는 다른 공인구를 만들 때도 사용됐어요. 1970년 멕시코 월드컵부터 2002년 한일 월드컵까지 공인구의 디자인은 조금씩 달랐지만, ‘깎은 정이십면체’라는 뼈대는 ...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최고기온이 30°C까지 올라 우리나라의 여름과 비슷합니다.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된 2010년부터 이런 더위 날씨에 어떻게 축구 경기를 치를지가 이슈였는데요. 수학, 과학을 이용해 더운 공기를 경기장 밖으로 빼내고 찬 공기는 경기장에 가두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살펴봐요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 새는 어떻게 날까?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속도는 31m/s로, 수평 비행 속도가 빠른 새 중 하나이다. 하루 평균 500km 이상 난다. ☆ 2007년 데이비드 렌틴크 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교 교수는 칼새가 날개를 펴는 모양을 바꿔 활공 시간을 2배로 늘리거나 회전 속도를 3배로 높일 수 있음을 밝혔다. 비행 제어가 뛰어난 매 / Falco peregrinus 날개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3화. 영국의 스타 수학자, 마커스 드 사토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지금도 하디처럼 생각하는 수학자가 많나요? 제가 처음 수학 대중화 활동을 하게 된 2000년대 초만해도 많은 연구자가 하디처럼 생각했었지만, 다행히도 지금은 많이 변했어요. 수학을 알리고 소통하는 역할의 중요성에 훨씬 더 많이 공감하고, 그런 활동을 인정해 주는 기관도 점점 많아지고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