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12월 줄기세포 분야 권위지 ‘셀 스템 셀’에 줄기세포에서의 마이크로RNA 발현을 주제로
논문
을 게재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박 회장은 “한국 생명과학 석학 중 NEBS 출신이 다수 있다”며 “유명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신희섭 KIST 뇌과학연구소장 등이 젊은 시절 이 단체에서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많이 발표하는 수준을 넘어 이제 연구의 질을 높일 때가 됐다고 말했다. 무조건적인
논문
수보다 학술지 중에서도 ‘네이처’, ‘사이언스’, ‘셀’과 같은 공신력 있는 곳에 발표한 연구를 따로 집계하거나 다른 연구자에 의해 인용된 횟수를 평가하는 등의 질적인 평가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생각일까. 정 원장은 앞으로 기초분야는 분야별 특성을 감안해
논문
발표 실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인프라 구축 연구는 구축 실적으로, 응용개발 분야는 특허 성과를 중심으로 특성에 맞게 평가해 나갈 예정이다. 그는 “예를 들어 실용연구 분야는 연구 결과가 실용화되는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위원장=특허의 양적 성과 이면에 정부의 연구지원 정책이 있다. 정부는 연구비를 줄 때
논문
외에 특허 성과도 쓰게 한다. 거기에 맞추려다 보니 대학의 특허 출원이 많아 보이지만, 대부분 기술거래에서 거의 쓸모없는 가비지(garbage) 특허다. ▽김성호 과장=결국 활발한 기술거래나 기술이전이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보며 얻은 데이터로 많은
논문
을 내고 있지만 미국 의학 연구진만큼 최고 수준 학술지에
논문
을 내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는 임상을 전제로 한 중개연구가 생명과학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환자를 가까이서 관찰하며 5~10년 뒤 환자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의약품은 유방암 치료제로 쓰인다. 울렌 교수는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논문
이 최근 한국에서 많이 발표된다”며 한국의 연구역량을 높이 샀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생명공학기술(BT)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집중 투자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해 그는 “한국의 기업은 정보기술(IT)이 매우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연구
논문
만 보더라도 양과 질에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생물화학지(JBC)’에
논문
이 실리면 언론에 소개되던 시절이 불과 15년 전이다. 국내 바이오 연구위상은 세계 7위 수준으로 높아졌다. 산업계가 찾아내지 못한 보석 같은 연구들이 아직 많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참석자들은 학계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덧붙였다. 성백린 교수의 ‘이것만은 꼭’ △대기업의 장기적 지원 필요 △특허나
논문
수보다는 지적재산권에 가치를 둬야 △신약 개발에는 선제 연구가 중요 성백린 교수는 -1973~1977년 서울대 약학대학 -1977~1979 KAIST 생물공학 석사 -1979~198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 -1982~1987 MIT 생물학 박사 -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
동아사이언스
l
2011.01.25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권 교수는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의 유명 과학저널에 우수한
논문
이 많이 실린다”며 “글로벌 수준의 연구소과 경쟁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연구개발 투자 규모 등은 여전히 뒤져 “10년 전에 귀국해서 연구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김 교수는 “연구할 시간은 부족하고 평가를 받으려면
논문
은 내야하니 의미 없는
논문
을 많이 싣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이유로 미국 등 외국에서는 연구를 주로 하는 교수의 경우 학부 강의는 거의 하지 않는다. 대학원에서 강의를 하지만 비중은 3학점 미만으로 그리 높지 않다. 김 교수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