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스페셜
"
과정
"(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KI 빌딩에서 만난 김경환 연구원은 대구과학고등학교를 나와 KAIST에 입학해 박사
과정
까지 마치고 IBS에 합류한 수재다. 재학시절 우수논문상을 받았고 IBS 합류 1년 만인 2014년에 우수연구원상까지 받았으니 누가 봐도 학창시절부터 최상위에만 있었을 것 같다. 하지만 대구에 있는 대곡중학교를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여름철에 파도타기를 즐기던 사람들이 겨울에도 서핑이 가능하도록 고민하는
과정
에서 탄생했다. 1963년 중학교 2학년의 미국 청소년 톰 심스(Tom Sims)는 크리스마스 휴가 때도 파도타기를 즐길 수 있도록 서핑보드를 약간 개량해 눈 위에서 타는 ‘스너퍼(Snurfer)’를 선보였다. 1971년에는 ‘스노보드 ... ...
[Green Lab_현장탐방] 음식물쓰레기에서 자동차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1.30
플랜트는 1시간에 6Nm³의 메탄가스를 정제할 수 있는 규모이며 이 설비를 통해 전처리
과정
부터 기체 분리막 공정 등을 실험하고 있다. 이 플랜트는 3~4단 재순환 공정으로 되어 있으며 실험결과 메탄가스 순도 98%에 메탄 회수율 90~95%를 이루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파일럿 플랜트의 실험 결과를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이로써 인류는 마치 태아가 아기로 성장해 나가는 것처럼 혜성의 가장 드라마틱한 생의
과정
을 지켜보게 된다. 이를 통해 로제타호는 인류의 질문에 답을 찾아 나가게 될 것이다. 과연 혜성은 인류에게 생명과 물을 전달해준 생명의 씨앗 역할을 하는 천체인지 말이다. 최근 로제타에 장착된 이온 및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이뤄져야만 사람의 팔다리가 움직이는 것이다. 인공 팔, 다리는 이런 신호 전달
과정
을 흉내내서 만든다. 근육이나 신경, 피부에서 신호를 측정하고, 다시 사람의 근력을 계산한 후 이를 다양한 형태의 구동기를 사용해 근력을 보조하거나 증폭해야 한다. 인체를 완전히 이해하고, 거기에 맞춰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설계, 프로그래밍 기술, 무선통신 및 전력 전달 기술 등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 이
과정
에서 10여 건의 국내 및 해외 관련 특허도 출원했다. 이 기술을 이용해 안전성을 확인받고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 다만 현재는 사업주체의 경영난으로 인해 더 이상 제품이 생산되지 않고 있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인터뷰 “사소한 불편을 참지 마라"
KOITA
l
2015.01.20
녹음하면서 음색을 개선했습니다.”그는 “이러한 ‘반복’이야말로 다이슨의 디자인
과정
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토마스 에디슨의 말을 인용했다.“저의 우상인 에디슨은 ‘나는 실패하지 않았다. 단지 작동하지 않는 1만 가지 방법을 발견했을 뿐’이라고 말했죠. 새 기술을 개발할 때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라며 "하지만 견딜 만한 수준이고 조금씩 넓어지고 있다"라고 덧붙인다. 아직 박사
과정
을 밟고 있는 임 연구원의 목표는 일차적으로 '졸업'이다. 임 연구원은 현재 대학원 4년 차, 군대 문제도 아직 남아 있다. 현재 그는 대체복무의 한 형태인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보통 실험실에서는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있다. 화학, 물리학, 생명과학 분야의 학제간 연구 꿈꾼다 서울대 화학과 석사
과정
에서 유기 화합물을 합성하는 실험 연구를 한 그는 미국에 유학 갔을 때 화학 현상의 근본원리를 규명하는 데 관심이 컸기 때문에 사카고대 그레이엄 플레밍 교수 밑에서 극초단분광학을 연구했다. 1996년 국내에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장치인 ‘토드 핑거 로케이터'(TPL)’를 이용해 찾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일련의
과정
을 종합할 때 대부분의 항공사고는 ‘추락사고’에서 빚어진 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지난 3월 종적을 잃어버리고 아직 사고 원인조차 확정짓지 못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항공기 MH370호에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