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스페셜
"
과정
"(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전국 방사선 관련 학과에서 시행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총 431명이 이 교육
과정
을 이수했으며 이 중 256명이 자격시험에 합격, 방사선카운슬러 민간자격증을 취득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방사선카운슬러는 이제 막 첫 걸음을 떼었을 뿐이다. 학회가 구성되고 첫 민간자격증 보유자도 배출했지만 ... ...
원전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알 수 있다. 따라서 혹시라도 발생할지 모를 원전 사고를 예방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다. 유럽연합은 2011년부터 2년간에 걸쳐 유럽 전역에서 스트레스테스트를 수행하고 2012년 10월 최종 보고서를 발행하여 안전을 위한 권고사항들을 발표했다. 국내에서는 월성1호기에 스트레스테스트를 ... ...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전문가를 포함한 민간 전문가를 대거 참여시켰다.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테스트
과정
과 그에 따른 회의록 및 보고자료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별도 페이지(http://voc.kins.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방법으로 관측할 계획이다. 이효철 그룹리더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에서 박사
과정
을 밟을 때 아메드 즈웨일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즈웨일 교수는 화학결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펨토화학이란 새로운 분야를 탄생시켜 1999년 노벨화학상를 받은 이 분야의 대가이다.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이론을 바탕으로 마이컬슨-몰리 실험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온갖 해석을 내놓았다. 이
과정
에서 조지 피츠제럴드와 헨드릭 로렌츠가 ‘로렌츠 피츠제럴드 수축’을 정립하는 성과를 내놓기도 했지만 타당한 해석을 내놓는 데는 모두 실패했다. 결국 50여 년 간 이어진 재검증 끝에 지구를 둘러싼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3.24
너무 많이 들면 소용없다. 시간도 비용이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해 분석해내는
과정
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안에 처리해야 한다. 요약해 보자. 빅데이터는 마냥 큰 데이터가 아니다. 그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해 의미 있는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이다. 그런데 빅데이터가 왜 필요할까.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2.27
그 이상 나이든 쥐도 암수 20마리씩 보유하는 것이다. 쥐 한 마리가 태어나서 늙어가는
과정
전체를 추적하기 위해 생쥐 전용 컴퓨터단층촬영(CT) 장치와 행동분석기도 구비했다. 문 부장은 “전라남도는 고령자 비율이 21.4%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면서 “AFAS도 이곳에 위치한 만큼 노화와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수 있도록 진화가 일어나죠. 그 변화의 선택
과정
에서 DNA 복구
과정
이 중요한데, DNA 복구
과정
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따라 자연선택이 빨라지거나 느려진다고 합니다." ● DNA 손상과 관련된 3가지 대표 성과 명 단장이 '셀'에 발표했던 논문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특히 그는 이 논문에서 'DNA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세계적인 화제를 모으기도 했지만, 아직 기나긴 규명
과정
이 필요한 만큼 암흑물질의 정체를 알아내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액시온 연구 역시 다른 유력한 후보군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 학문적으로 중요성이 클 뿐 아니라, 기초과학 분야에서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그러면서 결국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두려움이란, 뇌로 정보가 받아들여지는
과정
에서 발생된 신호의 왜곡이라고 결론을 지었다. 블랑케 박사는 “바로 이런 현상이 정신분열증의 원인을 해석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며 “누군가 자신들을 쫓아오거나 해치려 한다고 생각하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