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지속
지지
뉴스
"
지탱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카카오 새 대표의 미래 구상 BIG 4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3.27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카카오톡의 진화 먼저 카카오라는 회사를
지탱
하는 대들보 역할을 하는 카카오톡을 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카카오톡이 멜론을 만나 한 단계 진화했다. 지난 1월 카카오톡 앱에서 멜론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90년대 친구나 ... ...
줄었다 늘었다 몸 길이 17.5배 느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없이 유연한 재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소프트 로봇은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큰 힘을
지탱
하지 못했다”며 “이번에 개발한 로봇 팔은 소프트로봇과 하드로봇의 중간 형태로 평소 유연하게 접혔다가 필요시 단단해져 활용 범위가 넓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극지나 사막, 우주 등 ... ...
패럴림픽 최초 금메달 노린다, 파라아이스하키 정승환 선수 인터뷰
수학동아
l
2018.03.10
정지하면 그만큼 힘을 못 싣고, 슈팅할 때도 오른팔로 할 때가 강해요. 왼쪽 다리가
지탱
해주니까. 반대쪽은 넘어질 것 같아서 힘을 많이 못 써요. 이런 균형을 맞춤형 버킷이 최대한 잡아주도록 만들어주시더라고요. Q. 정승환 선수도 맞춤형 버킷을 쓰고 있나요? 음, 솔직히 말하면…. 이런 건 줄 ... ...
고난이도 요가는 이렇게
팝뉴스
l
2018.03.05
모래에 닿아 있다. 두 손바닥이 모래 바닥을 짚은 상태다. 한쪽 발끝으로 체중을
지탱
하며 다른 발 끝은 하늘을 향해 있다. 최근 해외 SNS에서 인기를 얻으며 화제가 된 사진이다. 무료 사진 사이트에 공개된 것인데 정확한 촬영 관련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유연하면서도 강하고 말랐지만 ... ...
[짬짜면 과학 교실] 운명대로 사는 식물의 일생
2018.02.24
경사면에 씨앗이 떨어져 어쩔 수 없이 비스듬히 자라는 나무의 뿌리는 제 줄기와 가지를
지탱
하느라고 얼마나 힘들까요. 그러니 식물은 스스로의 힘으로는 자리를 옮길 수 없어서 운명적인 환경에 묶일 수밖에 없겠습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과 이 ... ...
컬링 선수의 빗자루질 뒤에 물리학이 있다
2018.02.12
거리를 미끄러져 가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컬링 스톤의 바닥에는 돌의 무게를
지탱
하는 러닝 밴드(running band)라는 얇은 고리가 있습니다. 이 밴드는 스톤이 얼음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두께 5㎜, 직경 12㎝ 정도의 링입니다. 밴드의 질감과 밴드 가장자리의 부드러운 정도는 얼음과의 마찰에 ... ...
[카드뉴스] 겨울만 되면 나는 볼빨간사춘기
2018.02.09
두께 때문만은 아닙니다. 감정의 변화가 생겨도 일시적으로 빨개지죠. 이는 혈관을
지탱
하는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하도록 자율신경이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자율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교감신경절에서 아세틸콜린을 분비합니다. 혈관 내피세포가 산화질소를 방출하도록 하죠. 산화질소는 ... ...
절벽에 매달린 아이?
팝뉴스
l
2018.01.12
높이의 절벽이다. 아이가 매달려 있다. 그것도 한 손으로 몸무게를
지탱
하고 있다. 곧 아주 끔찍한 일이 벌어질 것 같다. 팝뉴스 제공 그런데 아이의 표정은 진짜 공포가 아니다. 약간 장난스럽고 과장을 한 것 같다. 그렇다면 사진은 연출된 것이고, 실제 절벽이 아닌 곳에서 촬영했다. 문제는 ... ...
초고층 VS 5층 다세대, 지진에 더 취약한 필로티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개념이 처음 등장한다. 그전까지의 건물은 주로 두터운 벽체가 건물 전체의 하중을
지탱
했다. 르 코르뷔지에는 이런 벽체의 역할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인 필로티(Pilotis)가 대체하도록 건물을 설계했다. 벽체가 더 이상 구조적인 역할을 하지 않자 건물 1층을 개방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었다. ... ...
종이와 달걀로 무거운 선반을 받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02
받는 곳으로, 아치형 구조를 하고 있다. 그래서 몸무게를 효과적으로 나누어 몸을
지탱
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다음 실험 미션 라이터와 성냥 없이 불을 피워라! 섭섭박사님은 친구들과 추운 겨울을 앞두고 캠핑장으로 놀러갔어요. 드디어 찾아온 대망의 바비큐 타임! 그런데 이게 웬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