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전파
뉴스
"
전파망원경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외계의 전파 신호, 정확한 위치가 잡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스퀘어 킬러미터 어레이 패스파인더(ASKAP)’의 모습이다. 12미터 구경의 대형
전파망원경
36대로 구성된 ASKAP는 우주에서 오는 전파 신호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잡아내는 능력을 갖췄다. ASKAP는 우주에서 오는 짧지만 강한 전파 신호인 고속전파폭발(FRB)을 측정하고 있다. FRB는 반복해서 나타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미국 윌슨 산 천문대의 100인치 후커망원경을 통해 천체를 바라보는 포즈를 취한 에드윈 허블. 허블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구경이 큰 이 망원경으로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1924년)과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1929년)을 발견해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가 됐다. 만약 알베르트 아인슈타 ... ...
태양계 밖 '뜨거운 목성' 자기장 목성보다 훨씬 강해
연합뉴스
l
2019.07.23
[X-ray: NASA/CXC/SAO/I.Pillitteri et al; Optical: DSS 제공] 별을 가까이서 도는 대형 가스행성인 이른바 '뜨거운 목성'은 태양계의 목성보다 훨씬 강한 자기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에 따르면 콜로라도대학의 윌슨 컬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계 밖 별 관측 결과를 토 ... ...
IBS “伊연구팀, 암흑물질 후보 ‘윔프’ 관측 주장 사실 가능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찬드라 X선 탐사선이 촬영한 대표적인 이미지인 '총알 은하단'. 분홍색이 X선 영상으로, 물질(분홍색)과 중력원(파란색)이 일치하지 않는다. 강한 중력을 지닌 암흑물질의 증거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제공 NASA 우주의 약 2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존재 여부가 관측을 통해 확인되지 ... ...
아기별은 자기장 ‘그물’의 방해를 뚫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아타카마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를 이용해 관측했다. ALMA는
전파망원경
66대로 구성돼 있으며 동아시아와 북미, 유럽연합 컨소시엄과 칠레가 건설해 운영하고 있다. 한국은 2014년부터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원래 아기별은 분자가 마치 구름처럼 흩어진 ‘분자구름(분자운)’ ... ...
“외계행성 이름을 지어주세요”…IAU 100주년 국제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국제천문연맹(IAU) 창립 100주년 기념 로고.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창립 100주년을 맞아 외계행성의 이름을 짓는 ‘IAU100 Name Exo Worlds 국제공모전’을 시작한다. 이번 국제공모전은 전세계인들이 참여한다. IAU는 각 나라에서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외계행성과 그 중심별 ... ...
일반상대성이론 검증 100년…개기일식, 우주에 대한 이해를 바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1919년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이 촬영한 태양 개기일식 사진이다. 에딩턴은 일식 순간 주변에서 촬영할 수 있던 별들의 위치를 평소와 비교해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시공간 휘어짐과 빛의 진행방향 변경 현상을 확인했다.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29일은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최 ... ...
5G·우주인터넷 내세운 통신업계, 천문·기상학계와 한판대결 벌어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마르코 랭브록 네덜란드 라이덴대 천문대 연구원이 지난 24일 ‘스타링크(Starlink)’ 인공위성들이 지구를 도는 영상을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마르코 랭브록 제공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미국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가 지난주 쏘아올린 스타링크 인터넷 위성이 천문학계의 우 ... ...
‘우리은하’ 가장자리 별 태어나는 영역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별 생성률이 높은 원인을 밝힐 계획이다. 강성주 박사후연구원은 “국내 최초
전파망원경
을 통해 별 생성 영역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처음으로 관측하고 별 생성률의 특성을 알아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5월 1일자에 게재됐다 ... ...
[600호 맞은 과학과 기술] 50년전 인공장기·서독 과학을 주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구현으로 미세먼지 저감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지구 잡음이 차단된 달의 뒷면에
전파망원경
을 설치하는 등 올해 초 전망한 기술들이 실현될 가능성도 있고, 또는 예상보다 훨씬 효율적인 기술로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1년 1월호 표지는 미래 한국의 희망과 꿈이 될 과학기술을 담았었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