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뉴스
"
여름
"(으)로 총 1,99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부터 북극해 열파 매년 발생…해양 폭염 일상화"
연합뉴스
l
2024.02.14
경우 북극해에서는 해양 열파가 앞으로 연례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여름
스웨덴 쇄빙선 오덴이 촬영한 북극해 얼음 지대. [Flor Vermassen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또 겨울이 지나고 해빙(sea ice)이 일찍 그리고 빠르게 녹으면 그해에 해양 열파가 ... ...
기후변화로 빙하 녹자 북극곰 몸무게는 하루 1kg씩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열량 높은 먹이를 구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늦봄부터 초
여름
까지 새끼를 낳고 젖을 떼는 동안 해빙 위에 머물며 지방이 많은 바다표범 등을 주로 사냥해야 하는 북극곰들은 충분한 먹잇감을 얻지 못했다. 그 결과 20마리 중 19마리의 체중이 하루 평균 1kg씩 감소한 것으로 ... ...
하와이 이어 칠레 삼킨 산불…소득 낮을수록 피해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산불"이라고 말했다. CNN에 따르면 이번 산불은 섭씨 33도를 웃도는 무덥고 건조한 '
여름
폭염'이 연일 이어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4월 캐나다 전역에서 발생한 대형산불과 8월 하와이 마우이섬을 강타한 산불도 덥고 건조한 환경이 확산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 ...
"탄소중립 후 '해양 반격' 시작"…KISTI·포스텍 슈퍼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또 전 지구 자오면 순환의 시작점인 열대수렴대가 남하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한반도는
여름
철 강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오지훈 포스텍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깊은 바다를 통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랫동안 인류에게 ... ...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는 시민과학자가 되어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3
오르며 제비꽃의 어떤 점을 관찰하는 건가. A. "제비꽃은 봄엔 꽃잎이 열려 있는 개방화,
여름
부터 가을까진 꽃잎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는 폐쇄화를 피운다. 폐쇄화는 열매를 만들어 내는데 열매가 세 갈래로 갈라지면서 열매 안에 든 씨앗들이 멀리 퍼진다. 1년 내내 개방화와 폐쇄화를 통해 열매를 ... ...
NASA, '자동차 문 닫는 소리보다 조용한' 초음속 항공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미국우주항공국(NASA)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초음속 항공기 'X-59'. 록히드마틴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록히드마틴과 공동 개발한 초음속 항공기 'X-59'를 공개했다. 음 ... 내는 항공기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X-59의 활주 시험은
여름
께 이뤄질 예정이다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분석했다. 토양 입자 분석 결과를 기후 시뮬레이션 모델과 결합해 연간 강우량,
여름
철 기온을 비롯해 다양한 기후 변수를 측정했다. 그 결과 호모사피엔스가 동아시아 대륙에 처음 당도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약 12만 5000년 전에서 7만년 전 사이 동아시아는 약 27.5도의 기온에 현재보다 더 비가 ... ...
“겨울철 불청객 노로바이러스 환자 급증…영하 20도서도 생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의정부을지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바이러스의 수가 겨울에 더 많아진다기보단
여름
철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세균은 추운 날씨에 사멸하는 반면 노로바이러스는 겨울까지 견딜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겨울에 자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도에서도 ... ...
천왕성·해왕성 실제 색깔 찾았다…"모두 옅은 청록색"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입자들이 극지에서 녹색, 적색 파장의 반사를 더 증가시켜 천왕성이
여름
에 더 푸르게 보인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이끈 어윈 교수는 "데이터를 활용해 해왕성과 천왕성의 색을 가장 정확하게 재구성했다"며 더불어 "천왕성이 태양을 공전하는 동안 왜 색깔이 변하는지 이미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기울어져 있어서 나타나는 자연 현상이다. 북반구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고 있는
여름
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아지고,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자전축이 태양에서 먼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겨울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아지고, 밤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런 계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