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뉴스
"
여름
"(으)로 총 1,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시장에서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야간특별반을 개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당장 올
여름
부터 상위권 대학의 이공계 학과는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다. 의대 진학을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N수생'의 길을 선택하는 학생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 의대 증원 ... ...
'악' 소리나는 과일 가격...지구온난화로 식량가격 더 상승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3.22
개량 등 대응책 마련 필요 이미 기후 변화는 식품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2년
여름
극단적인 날씨는 유럽 식량 물가 상승률이 0.67%p 증가하는 요인이 됐다. 최근 영국에서는 기상이변인 해상 폭풍의 영향으로 바나나 공급이 지연되고 있다. 영국은 수입한 바나나를 숙성시키는 센터를 ... ...
남극에서 살아남은 식물의 비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앱시스산'이 이끼의 겨울철 휴면 시작 시점과 휴면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
여름
철에는 큰 일교차와 강한 자외선에 대응하는 항산화 유전자의 발현도 확인했다. 이정은 책임연구원은 "남극이끼의 극한 환경 적응 전략은 수백 년 동안 이어온 남극 식물의 고유한 유전 자원 덕분"이라며 ... ...
[화보] 한라산 백록담에 겨울왕국이 있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2대가 이른 아침부터 분주하게 제설 중이다. 기상청 제공(나기환 촬영) 침수. 지난해
여름
의 어느 날 많은 장맛비가 내려 불어난 한강 물에 침수된 반포한강공원의 모습을 담았다. 기상청 제공(촬영 홍민혁) 폭설로 마비된 도심. 2021년 많은 눈이 내려 순식간에 교통이 마비된 서울 서초구 교대역 ... ...
식품 속 발암물질도 '등급'이 있다
과학동아
l
2024.03.09
모두 2A군(발암 추정 물질)에 해당합니다. 발암성 물질 분류 기준. WHO 제공 2023년
여름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아스파탐'은 어떨까요. IARC의 2B군 지정 소식에 뉴스'와 신문은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지정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뭔가 이상함을 눈치 채셨나요? 맞습니다.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 ...
북극곰 어쩌나…10년 내 '빙하 없는 북극'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일관되게 빠른 시일 내에 완전한 해빙에 이르는 것으로 예측됐다. 북극 빙하는
여름
에 줄어들어 9월에 최저 면적에 이르게 된다. 연구팀은 이번 세기 중반이 되면 9월 한 달간 빙하가 완전히 녹아내려 얼음을 볼 수 없게 될 것으로 보았다. 세기 말이 되면 얼음이 없는 시기가 1년에 몇 달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있는 보건복지부의 모습은 절망적이다. 과학자를 ‘떼도둑’(카르텔)으로 매도했던 작년
여름
의 상황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자칫 젊은 전공의와 의대생을 범죄자로 만들어 버리면 그 결과는 돌이킬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을 걱정해야 한다. 어설픈 ‘여론조사’를 믿고 의료 대란을 서둘러 해결하지 ... ...
[과기원NOW] GIST, 순록 눈 영감 받은 광필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유지시키는 능동 나노 광필터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북극 지역에 서식하는 순록은
여름
철 황금색을 띠던 눈동자가 겨울철이 되면 파란색으로 변한다. 파란색 눈은 극지방 동절기의 청색광 환경에서 빛 흡수를 극대화한다. 쌓인 눈 속 먹이 찾기에 유리하게 진화한 것이다. 눈 내부에 있는 ... ...
더 따뜻해진 남극
여름
…'극소용돌이'가 빨리 사라진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중위도의 따뜻한 공기가 서남극의 로스해, 아문젠해로 많이 들어온다. 그 영향으로
여름
철의 기온이 올라가고 해빙이 줄어드는 온난화가 나타난다. 심지어 햇빛을 반사하는 해빙이 줄어들면 남극 온난화 현상을 가속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아문젠해는 ‘종말의 날’ 빙하라 불리는 스웨이츠 ... ...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과학동아
l
2024.02.17
영장류, 다람쥐, 돼지 등은 휘판이 없다. 순록은 포유류 중 유일하게 휘판의 색이 변한다.
여름
에는 다른 포유류처럼 황금색을 띠다가 겨울에는 짙은 파란색이 된다. 휘판이 선명한 파란색으로 변하면 자외선이 눈으로 들어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휘판은 자외선을 차단해서 포유류의 눈을 보호한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