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뉴스
"
싹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2차 전지 성능 크게 개선한 과학자 인촌상 받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교수는 다양한 전지 기술을 개발해 그동안 수입에 의존했던 2차 전지 분야에서 국산화의
싹
을 트게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차 전지는 충전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부품이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에서 ... ...
사과
싹
, 영화 속 '냉동인간'처럼 영구 보존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경우 세포 사이에 있는 수분이 얼어 부피가 커지면서 세포막을 손상시킨다. 사과의
싹
인 휴먼눈을 영하 196 ℃ 액체질소에 초저온동결보존했다가 필요할 때 해동시켜 접목시키면 온전한 사과나무로 성장시킬 수 있다. - 농촌진흥청 제공 연구팀은 1월 초·중순에 채집한 사과 휴면눈을 영하 5 ... ...
아버지는 사랑했지만, 그 아들에게 홀대받은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07.29
강씨와 정략적인 혼인을 한 것이었다. 태조 이성계와 신덕왕후가 처음 만나 사랑을
싹
틔우게 된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의 어느 날, 말을 달리며 사냥을 하다가 목이 매우 타므로 우물을 찾았다. 마침 우물가에 있던 그 고을의 처자에게 물을 청했는데, 그녀는 ... ...
[에디터 칼럼]'빨아주기'와 '조지기'의 사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16
슬그머니 부아가 치민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과연 부정적인 보도를 하면 새로운 기술의
싹
이 잘려나가고, 기업하기가 어려워질까. 기자들이나 홍보인들이 쓰는 속어 중 ‘빨아주기’와 ‘조지기’라는 말이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빨아주기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좋은 기사를 ... ...
수학영재가 들어올린 골프 우승컵
동아일보
l
2013.06.24
잘 쳤다. 전인지는 충남 서산 대진초등학교 5학년 때 처음 골프채를 잡았다. 어릴 때부터
싹
이 보였다. 그런데 그해 수학경시대회에서 덜컥 대상을 받았다. 아버지 전종진 씨(54)는 딸에게 골프를 시키고 싶어 했지만 학교 선생님은 공부를 계속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 아버지 전 씨는 선생님과의 ... ...
[채널A] “갈증 해소는 2잔까지” 맥주 맛의 비밀은?
채널A
l
2013.06.20
때문입니다. 생맥주 vs 병맥주, 맛은 같다? 두 맥주의 원료와 조성은 동일합니다. 보리의
싹
을 말린 ‘맥아’라는 원료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키는데,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열처리를 한 것이 병맥주, 하지 않은 것이 생맥주였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이런 차이가 없습니다. [인터뷰 : 정철 ... ...
노화 싫다면 아마란스 나물 잡숴봐~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나물의 형태로 재배해 영양성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나물로 재배한 아마란스는 새
싹
이나 종자보다 체내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5배나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페놀의 함량은 8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나물의 단백질 함량이 ... ...
이것 없애니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싹
~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없앤다면 치료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정용근(사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알츠하이머병 유발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 ... ...
‘창조의 기둥’ 속에 생명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초목에서
싹
이 돋고 이름 모를 꽃이 피는 광경을 볼 때마다 대지에 생명의 기운이 충만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우주에도 생명의 느낌을 한껏 누릴 수 있는 곳은 많다. 예를 들어 별이 새로 태어나는 영역이다. 이 가운데 은하수 중심 쪽에 파묻혀 있는 독수리성운이 유명하다. 1745년~1746년 ... ...
이전
12
13
14
15
1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