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량위기 해결할 '고성능 작물품종' 연구장 된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3.06.26
화물우주선 톈저우 6호에는 질소 고정 운동을 일으켜 콩에서 아미노산 생산을 유도하는
박테리아
인 '리조비아'가 실렸다. 질소 고정은 공기 중에 담긴 질소를 콩에 필요한 영양분인 화합물로 전환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람혼밍 홍콩중문대 교수에 따르면 우주로 쏘아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무것도 붙지 않는 피부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6.24
다른 지질층과 비교해 콜레스테롤 층에는 단백질이 흡착되는 양이 현저히 적었으며
박테리아
의 접착도 낮았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콜레스테롤 분자의 방향 변동으로 물질이 붙지 않는 피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향성이 고정된 콜레스테롤층은 이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 ...
장내 미생물로 초기 치매 환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5
치매 초기 단계에 있는 사람의 장 내에는 그렇지 않은 사람의 장 내와는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
등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만으로 치매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탐 단타스 미국 워싱턴대 교수 연구팀은 장내 ... ...
[과기원은 지금]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촉매의 효율을 높여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13
이 교수는 ‘
박테리아
의 시스템 대사공학’을 주제로 한 기조 강연에서 비천연물질들을
박테리아
의 시스템 대사공학에 의해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전략들을 소개했다. 이 교수는 미국국립학술원, 미국공학한림원, 영국왕립학회 등 세계 3대 아카데미에 동시에 선출된 유일한 외국 회원이다. ... ...
인류 vs 모기, 최후의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10
뿌렸다. 3년이 지난 뒤 이 구역의 뎅기열 발병률은 다른 구역보다 77%나 낮았다. 볼바키아
박테리아
에 감염된 모기가 뎅기열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는 뜻이다. WMP는 매년 200만 명의 뎅기열 환자가 나오는 브라질도 볼바키아 감염 모기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볼바키아
박테리아
, 이렇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해야
2023.05.23
실내에서는 방향제도 경계해야 우리의 폐는 호흡으로 들이마시는 공기에 들어있는
박테리아
(세균)‧바이러스‧유해물질‧먼지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 폐의 면역기능은 매우 취약하다. 피부와 같은 차단 기능도 없고, 눈물과 같은 배출 기능도 없다. 그래서 호흡으로 ... ...
뿌리 유전자 진화시키며 가뭄에 더 강해진 옥수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만드는 유전자가 분포돼 있었다. 이는 옥수수가 질소 영양분을 획득하는 것을 돕는
박테리아
를 끌어들일 수 있는 진화적 변화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뿌리 내 유전자 구성도 진화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옥수수가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유전자 구성이 진화한 정황도 포착됐다. ... ...
병원균 억제하는
박테리아
생산..."항생제 내성 병원균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0
대사공학, 그리고 병원균 대응연구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양한
박테리아
의 유전자 억제를 위한 sRNA 도구 개발 과정 모식도. KAIST ... ...
좀비처럼 죽지않는 ‘항노화 약물 후보물질’ AI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연구팀은 “노화를 억제하는 가장 유망한 치료법은 항생제가 정상세포를 해치지 않고
박테리아
를 죽이는 것처럼 노화에 관련한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라며 “이번에 AI가 발견한 화합물은 이같은 원리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신체에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밝혔고 이 과정에서 후각(화학감각)의 민감도가 바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영양이 많은
박테리아
에서 나오는 냄새 분자에 더 민감해지면서 이들이 있는 쪽으로 이동한다. 흥미롭게도 사람 역시 대마초를 피우면 후각의 민감도에 변화가 생기고 미각 역시 유독 단맛에만 민감하게 바뀐다는 사실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