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가시가 사마귀를 조종하는 비밀…"숙주에게 유전자 빼앗아"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이를 수직 전달이라 한다. 수평 전달은 이러한 유전학의 원리에 의하지 않고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를 통해 유전자가 다른 개체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클레망 길베르트 프랑스 파리사클레대 교수는 "연가시가 사마귀의 유전자를 빼앗은 것이 맞다면 이는 가장 큰 규모의 유전자 ... ...
색 변화로 공기 속 병원성
박테리아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게티이미지 국내 연구진이 공기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원성
박테리아
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임은경 바 ...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해물질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공기 중 병원성
박테리아
현장 진단 플랫폼 모식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지구 생물 절반 이상이 토양에 산다
과학동아
l
2023.10.07
생태계 다양성 측정 연구에서 추정한 수치인 25%의 두 배가 넘는다. 균류의 90%, 식물의 85%,
박테리아
의 50% 이상이 토양에 서식했다. 인간과 같은 포유류는 3%로 토양 생태계와 가장 관련이 적은 생물군이었다. 다만 이번 연구의 추정치는 오차 범위가 15%로 커서, 평균 예측률은 44%~74%에 그쳤다. 연구를 ... ...
"R&D예산 삭감에 연구실 학생 모집 보류했죠"...고충 털어놓은 신진연구자들
2023.10.05
바이러스가 묻은 종이칩을 스마트폰용 전자현미경에 깔고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박테리아
부분만 형광으로 빛난다. 스마트폰만 갖고 있다면 누구나 바이러스 유무를 30분 내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지훈 연세대 교수는 일산화질소 전달체를 연구한 국내 몇 없는 ... ...
남극은 자연 그대로의 공간?…"발암 물질도 검출돼"
동아사이언스
l
2023.09.04
관행으로 발생한 피해를 되돌리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아르헨티나 남극연구소는
박테리아
를 이용해 칼리니 기지 주변 토양에서 탄화수소를 제거하고 있다. 2020년 보고에 의하면 아르헨티나 기지 주변의 오염된 토양에서 75% 이상의 탄화수소가 제거됐다. 호주 연구팀은 오염이 남극 ... ...
퇴치 어려운 '항생제 내성균' 치료 단서 속속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8.30
개선된 치료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
박테리아
는 입원 환자의 목숨을 위협하는 요주의 균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돼 적절한 감염병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의 수가 2050년에는 연간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 ...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맥신, 어떤 연구 이뤄지고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8.28
극대화했다. 그런 뒤 2가지 성질에 친화성을 갖는다는 의미인 '양친매성'을 강화해 빛과
박테리아
가 맥신 코팅제에 몰리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코팅제는 석유 기반 화학 제품의 대안으로 가죽· 종이·건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 ...
항생제 안듣는 '슈퍼
박테리아
' 잡는 토양 속 '미지의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클로비박틴은 세균 전구체에 존재하면서 변하지 않는 부분인 '피로인산염'에 결합해
박테리아
를 공격했다. 연구팀은 "클로비박틴은 마치 꼭 끼는 장갑처럼 피로인산염을 감싸 결합한다"며 "이러한 메커니즘은 세균이 내성을 갖는 것을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와인가스 교수는 ... ...
美서 밀크쉐이크 먹은 3명 사망... ’리스테리아‘와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3.08.22
등은 치명적인 상태에 이를 수 있고, 임신한 여성은 유산이나 조산에 이를 수 있다. 이
박테리아
를 보유한 어머니로부터 태아로 감염이 일어나기도 한다. 리스테리아 감염으로 인한 사망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2021년 워싱턴에서 발생한 입원 환자는 238명, 사망자는 47명이다.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게놈을 주입한다. 대장균의 전사 및 번역 시스템을 탈취해 증식한 파지는 단물이 다 빨린
박테리아
를 터뜨리고 나와 사방으로 흩어진다. 이때 관여하는 게 단백질E로, 대장균 세포벽의 구성성분을 만드는 효소인 MraY의 활성을 억제한다. 그 결과 세포벽이 약해지면서 내부 압력을 감당하지 못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