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708건 검색되었습니다.
6배 부풀린 몸, 식물성 플랑크톤 생존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세포에서는 물탱크 역할을 하는 액포가 커졌다. 액포의 팽창으로 몸이 6배까지 부풀면
바다
위로 떠오르게 된다. 세포 주기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표면으로 떠오를 때마다 광합성을 할 수 있다는 의미다. 플랑크톤은 최대 200m 위로 올라갈 수 있고 전체 세포 주기는 약 7일이다. 연구팀은 ... ...
고체·액체 성질 함께 가진 '전자 결정' 최초 발견…물리학 난제 풀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공은 결정을 이룬 전자를, 검은 공은 결정을 이루지 않은 채 남아있는 '전자의
바다
'를 나타낸다. 흰색 선으로 연결된 파란 공들은 육각형으로 짧은 거리의 배열만 갖는 전자 결정 조각을 이룬다. 김근수 연세대 교수 제공 국내 연구팀이 현대 물리학의 난제인 고온초전도체와 초유체 현상의 비밀을 ... ...
"얼음
바다
에 생명체 있을까"…NASA 최대 행성 탐사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유로파 클리퍼가 수집한 데이터를 조합해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하면 유로파 지하
바다
의 구성 성분과 온도 등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로파 클리퍼는 NASA가 행성 탐사 임무를 위해 개발한 역대 우주선 중 가장 크다. 태양광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대규모 태양광 충전 패널을 ... ...
[사이언스영상] 스페이스X 초대형 로켓 회수 성공
SEIZE
l
2024.10.15
스타십의 위쪽 발사체는 그대로 우주를 비행하다 이륙한 지 약 65분 만에 인도양
바다
위에서 폭발했다. 위쪽 발사체가 인도양에 돌아오는 건 계획에 있었으나 폭발도 의도적이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는 X(구 트위터)에 "다행성 생명체를 위한 큰 걸음이 오늘 ... ...
열 잘 견디는 산호 개량 가능하지만…"온난화 속도 더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호 생존에 치명적이다. Vardhanjp/위키미디어 제공 기후변화로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산호가 백화·폐사하는 사건이 잦아지고 있다. 영국 연구팀이 산호를 선택적으로 교배해 내열성을 강화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지만 미래에 예측되는 지구 온난화 수준에 비하면 개선 효과가 ... ...
'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비유해 '메카질라'라고 이름 붙였다. 이전 4차 시험비행까지 슈퍼헤비는 멕시코만
바다
로 하강해 입수했다. 이번 시도는 우주 역사상 큰 기술적 진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발사체 발사 비용도 대폭 줄일 예정이다. 지금까지 발사대에 재착륙한 로켓을 다시 쏘려면 한 달 이상 시간이 걸렸다. ... ...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허리케인 '밀턴'에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달하는 차가운 천체로 크기는 달의 90% 정도다. 15~25km 두께의 표면 얼음층 아래에 지하
바다
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 태양계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유력한 장소로 꼽힌다. 유로파 클리퍼는 발사 후 약 29억km를 이동해 2030년 4월 목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이후 약 50번에 걸쳐 근접 비행하며 ... ...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발사 예정…생명체 존재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표면 얼음층 아래에는 염분이 있는 지하
바다
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하
바다
에는 열과 여러 화학 물질을 내뿜는 열수분출공이 있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 해저에도 열수분출공이 있어 그 주변으로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파 ... ...
공룡 대멸종시킨 소행성 충돌 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일으켜 태양빛을 가렸고 생명체 멸종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2022년 기니 앞
바다
수심 300m 지점에서 '나디르 크레이터(Nadir crator)'라는 거대한 구덩이를 발견하고 백악기 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로 추정했지만 정확한 특징은 알아내지 못했다. 자신의 연구를 과학자들에게 설명하고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제공 두 연구팀은 지난해 7월 NASA의 고고도 공중과학항공기(ER-2)로 10차례 카리브해 주변
바다
에서 열대 번개폭풍 상공을 비행하며 감마선 방출 데이터를 수집했다. 외스트가드 교수는 "시속 20km 속도로 비행하면 감마선이 나오는 부분과 가까운 구름 위를 직접 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