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95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물체가 지나가면 물체만 감쪽같이 사라지고 뒷 배경은 여전히 볼 수 있다. 이 또한 기하
광학
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먼 배경에서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평행 광선으로 표현하고 렌즈에 의해 빛이 모이고 퍼지는 것을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렌즈와 네 번째 렌즈 사이에 광선이 지나가지 ... ...
"쎄트렉아이는 내 소명…1세대 위성 기업 저력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광학
위성 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1727억원 규모의 민간
광학
위성 1·2호 개발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김 대표는 "이번 사업은 용역이 아닌 위성 개발부터 발사까지 쎄트렉아이가 도맡는 방식"이라면서 "매출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위성을 개발하며 기술도 ... ...
ETRI, 양자컴퓨팅 위한 '8광자 큐비트 칩'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수 있다. ETRI는 나아가 새로 만든 칩에 광자생성기, 위상변조기, 스위치 등 다양한
광학
소자를 만들어 넣어 빛의 경로를 조절했다. 이를 통해 양자 간섭을 하도록 했다. 컴퓨터의 기본적 역할인 정보 전달 및 변환 수행이 가능케 한 것이다. 칩 내에는 비선형 광자 쌍생성 소스 8개와 광 경로를 ... ...
습도 조절해 원하는 이미지 띄운다…개인정보보호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선택적으로 공개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교수는 “팽윤 특성과
광학
적 특성을 접목하여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습도 감응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라며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또 노 교수는 “연구팀의 기술은 정보 보호 및 안전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 ...
한국인 첫 리켄 수석과학자 김유수 교수, IBS 신임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측정해 2022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2021년에는 나노 물질의 전자구조와
광학
물성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정밀한 나노 분광법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9년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발광 메커니즘을 제시한 연구를 ... ...
[과기원NOW] 자외선 메타홀로그램, 보안의 새 시대 열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각도나 빛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보안 스티커나 위조 방지 등
광학
보안 분야에서 떠오르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원하는 패턴을 도장처럼 빠르게 찍어낼 수 있는 대량 생산 공정에서 쓰이는 메타표면의 재료를 개선했다. 그 결과 공정의 비용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선명한 ... ...
[과기원NOW] 전기로 조절하는 메타표면, 종이처럼 얇은 양자광원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종원 교수팀이 전기로 제3 고조파를 조절할 수 있는 '비선형
광학
메타표면'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지난달 17일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에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비선형 3차 고조파 생성은 초기 광자(빛 입자)의 세 배 주파수를 갖는 새로운 광자를 생성하는 현상 ... ...
테러·범죄 악용되는 불법 드론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전자
광학
(EO)과 적외선(IR) 연동 레이더 시스템을 통해 불법 드론을 탐지·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레이더 서브(sub)시스템과 레이더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을 ... ...
해상도 100배 빛 측정 센서 개발…정밀한 자율주행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빛의 파면을 복구한다. 샥-하트만 파면 센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해 천문학 및
광학
시스템 평가 등 산업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마이크로 렌즈 크기 때문에 공간해상도가 제곱밀리미터 당 100개 수준으로 제한돼 복잡한 물체의 위상 이미징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메타표면 기술로 ... ...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하는 '스마트 창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서리 제거 등 3가지 기능을 하나의 소자로 구현했다.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독특한
광학
적 특성이 있는 은과 인듐주석산화물(ITO)의 적층 구조를 이용해 3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구현할 수 있었다. 투명 복사 냉각 기술은 실내로 들어오는 태양광을 최소화하고 복사열은 외부로 방출해 실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