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수"(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AUV로 탐사를 진행하고, 밤에는 아라온호 선상 장비를 이용해 진흙화산의 해저퇴적물과 해수 시료를 채취하고 지열을 측정했다. 420m 진흙화산 중심부에서 얻은 첫 번째 시료 상자 안에는 진흙 사이에 하얀색의 얇고 딱딱한 가스하이드레이트 조각이 박혀있었다. ‘불타는 얼음’으로 불리는 ... ...
- Intro. 잠수 로봇부터 인공 빙하까지! 빙하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빠! 어디 가?”안녕. 나는 새끼 북극곰이야. 가족과 함께 먹이 사냥을 하러 나왔지. 그런데 오랜만에 나와서 그런가? 여기저기에 얼음이 녹아 물웅덩이도 고여 있고 어쩐지 빙하가 많이 줄어든 것도 같아. 그나저나 아빠가 먹이를 구해오겠다고 앞장 서 가셨는데….헉! 갑자기 얼음 덩어리가 부 ...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 양이 줄고 있으며 두께도 매년 10m씩 얇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극지연구소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 이원상 단장은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빙하가 빨리 녹고 있다”며, “그 중에서도 따뜻한 바닷물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로봇과 드론을 보내 빙하를 감시하라!빙하를 구하려면 빙하가 어떻게 변하고, 녹고 있는지를 알아야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빙하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 연구팀은 ‘씨글라이더’와 ‘EM-APEX’라는 잠수 로봇을 개발해 남극 ... ...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일대 국제공항은 물론 페이스북과 구글 본사 등이 침몰할 것”이라며, “플로팅 시티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도시 형태”라고 말했답니다. 앞으로 지구에서 살아남으려면 기후변화를 막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아. 2080년에도 여전히 지구가 푸르를 수 있도록 우리 함께 노력하자. 그럼 안녕 ... ...
- 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10억 명 이상이 살던 곳을 떠나야 한다는 경고도 실렸어요. 실제로 세계 해안 도시들은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제방을 쌓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둥둥~ 물 위에 떠서 산다?! 기후변화에서 살아남기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Part 2. ... ...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큰 종인 ‘태평양참다랑어’의 몸길이는 최대 3m 정도이고, 몸무게는 450kg에 달해요. 보통 해수면 아래 200m 정도에서 헤엄치며, 무리 지어 다니는 멸치와 청어 등을 먹고 산답니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몸 안의 온도가 주변 수온에 따라서 변해요. 그런데 저희는 열대바다에서 온대바다까지 넘나들며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인 IPCC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과 해수면의 상승, 그리고 극지방의 빙하가 빠르게 줄고 있는 것을 근거로 지구 온난화가 분명히 진행 중이라고 밝혔어요.이렇게 온난화가 계속 진행되면 앞으로 폭염은 얼마나 더 심해질까요? 최근 ...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않아요.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지요. 물의 밀도가 1g/cm3인 반면 공기의 밀도는 0.001225g/cm3(해수면, 15℃ 기준)로, 약 800배 차이가 나요. 이에 연구팀은 프로펠러 크기에 주목 했어요. 프로펠러가 너무 크면 물에 들어갔을 때 속도를 내지 못하고, 반대로 너무 작으면 공기에서 추진력을 얻지 못하거든요.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발생한다. 연구팀은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태풍이 늘고 한반도를 향할 가능성이 높아, 해수 온도의 상승 속도가 지금과 같이 유지된다면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수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태풍의 최초 발생 지역도 적도에서 점점 더 북상하고 있다. 제임스 코신 NOAA 기후데이터센터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