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끝의 아주 작은 암호, 지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오늘도 지문으로 스마트폰 잠금 화면을 해제하셨나요? 지문은 사람마다 달라 암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런 지문은 어떤 이유로 우리 몸에 존재하는 걸까요? 지문의 정체와 무궁무진한 활용까지 모두 알아봤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손끝의 아주 작은 암호, 지문Part1. 지문의 탄생 ... ...
팩트체크3. 일본의 오염수 방류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받는 영향을 완벽하게 나타낼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예시로 백도명 서울대 환경보건
학과
교수는 ‘워킹 레벨 월(working level month)’을 들었다. 이는 라돈에 노출되는 광부들의 누적 노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단위다. 1m³ 공기 중 라돈과 라돈이 붕괴하며 발생하는 핵종에 170시간 노출됐을 때 받는 ... ...
팩트체크6. 삼중수소가 몸 속에서 암을 유발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진다. 강건욱 서울대병원 핵의
학과
의료
학과
교수는 “일상 생활을 하면서도 세포는 계속 죽고 DNA는 계속 변화하지만, 우리 몸의 수정 메커니즘이 탁월하다”며 “저선량 방사선으로 인한 세포 변형이 암을 일으킨다는 역학적 근거가 아직은 ... ...
행복해져라, 행복해져라~ 동물한 허가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안녕! 나는 동물을 너무나 좋아하는 동물원 원장이야. 그런데 최근 동물원이나 수족관에 사는 동물들이 더 행복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법이 통과됐대. 동물원 허가제라던가? 앞으로 허가 기준에 맞지 않는 동물원은 문을 닫아야 할지도 모른대.... 이참에 우리 동물원을 동물들이 행복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
학과
교수는 “신체특성과 관련된 유전자형을 알게 된다면 유전자를 기반으로 신체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며 “향후에 안전성 검증 및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면 유전자 편집(유전자 서열을 바꿔 유전자형을 ... ...
우리 동물원, 어떻게 고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걸리지 않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관리 계획도 세워야 하죠. 청주대학교 동물보건
학과
마승애 교수는 “자세한 평가 항목은 환경부에 서 만드는 중”이라며 “동물을 관리하는 사육사나 수의사 같은 전문인력의 수나 동물원이 활용 할 수 있는 예산도 평가항목에 포함 될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OUTRO. 위험 인식의 정치성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사회적 위기로 이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필자소개. 홍성욱. 울대 물리
학과
를 졸업하고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과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이름에 ‘대왕’이라는 호칭이 붙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김슬기. 서울대 과학
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울퉁불퉁 지문에겐 다 계획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밝혔습니다. ●지문 연구의 끝은 로봇의 인공 지문?2021년, 카이스트 바이오뇌공
학과
박성준 교수팀은 사람의 지문을 모방한 인공 피부 시스템을 공개했어요. 사람의 촉각 신경 시스템을 모사해 정확하고 현실감 있는 인공 감각을 구현한 거죠. 연구팀은 인공지능 계산을 활용해, 사람이 촉각을 ... ...
미국 대통령도 아인슈타인도 증명 도전! 피타고라스 정리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붙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 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수학 및 통계
학과
교수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피타고라스학파보다도 먼저 고대 바빌로니아인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알고 있었습니다. 기원전 17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점토판에 3:4:5, 8:15:17. 5:12:13 등 세 변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