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미국 청소년, 기후 소송 첫 승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배출량을 검토하지 않아도 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우리 청소년들은 앞으로 지구에서 살아갈 날이 더 많은 미래 세대를 위해 소송을 하기로 결심했지. 화석 연료 사용이 늘어 가뭄과 홍수, 산불 등 일상에서 이상 기후가 잦아졌다는 데이터를 근거로 말이야. 3년에 걸친 재판 끝에 재판부는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치열한 사막라이프, 크레오소트 관목과 메뚜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듯한 사막도 자세히 살펴보면 생존 경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대장 장이권 교수의 사막 생물 탐구생활, 세 번째 시간에는 사막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을 품은 크레오소트 관목과 이 관목을 먹고 사는 메뚜기를 살펴볼게요. 크레오소트 관목이 독을 품은 이유는? 크레오소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기술은 GPS와 GIS 시스템이에요. GPS는 미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범지구적 위치 시스템으로, 지구 위에 떠 있는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정확한 나의 위치 좌표를 알아내요. 내 위치를 정확히 알아야, 가고 싶은 장소까지 최단 거리 등을 안내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가고 싶은 장소까지 가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행성을 내 손으로? 태양계 행성 액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태양 주위를 돌고 있어요. 각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도 태양계에 포함됩니다. 달은 지구의 유일한 위성이죠.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위성을 거느린 행성은 토성과 목성입니다. 특히 토성은 145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어요. 천왕성, 해왕성에도 위성이 있지요. 태양과 각 행성, 위성 등 우주에 존재하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생물, 위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도로 알려줍니다. 적도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으로 지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그은 선이에요. 위도의 기준이 되는 적도는 위도가 0입니다. 위쪽으로 올라가면 북극점을 나타내는 북위 90캮이 있고, 반대편으로 내려가면 가장 아래쪽에 남극점을 나타내는 남위 90캳가 ... ...
- 1초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재고, 그것을 8만 6400으로 나누어서 나오는 값을 1초라고 정했어요. 그러나 과학자들은 지구가 회전하는 시간이 규칙적이지 않다는 걸 발견했고, 1초를 계산하는 방법을 다시 정했지요. 바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세슘 원자★를 이용한 방법이에요. 용어 설명원자★ 어떤 물질을 이루는 기본 ... ...
- 먼 거리는 킬로미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km라고 간단히 적을 수 있지요. 지구의 지름도 km를 써서 나타내요. 적도★를 기준으로 잰 지구의 지름은 약 1만 2742km예요. 보통 사람은 한 시간에 약 4km를 걸으니까, 걸어서 약 3185시간, 일수로는 132일이 걸릴 만큼 엄청난 거리이지요 ... ...
- 넘쳐 흐르는 바닷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온도가 오를수록 해수면도 더 빠르게 오릅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은 “지난 6월과 7월 지구의 해수면 평균 온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5℃ 올랐다”며 “과거에는 0.25℃ 오르는 데 20년이 걸렸던 것에 비해 매우 빠르게 오른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
- [만화 뉴스] 세계기상기구, “올해 7월은 역대 가장 더운 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월 31일, 세계기상기구는 올해 7월의 첫 3주간이 지구가 가장 더웠던 기간으로확인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의 관측 데이터를 보면 올해 7월 6일 전 세계의 평균 지표면 기온은 17.08℃로, 이전 가장 높았던 기록인 2016년 8월 14일의 16.80℃보다 ... ...
- [4컷 만화] 임무를 다한 위성 ‘아이올로스’, 지구 송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고도 250km에 이어 고도 150km까지 내려갔지요. 대기권에 진입하자 아이올로스의 몸체가 지구 중력에 강하게 이끌리며 점점 가속 추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7월 28일, 아이올로스의 몸체는 공기와의 마찰로 불에 탔고 남은 잔해는 대서양으로 추락했습니다. ESA는 “이번 실험은 우주 쓰레기를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