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좋아요. 왜냐하면 이러한 기준들은 어린이의 나이와 관심사를 고려해서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사숙고해 결정한 것이거든요. 전체관람가가 아닌 프로그램 안내에는 연령 등급 말고도 주제, 공포, 폭력성, 모방 위험 등 다양한 안내 아이콘이 붙어 있어요. 만일 아래와 같은 안내문이 붙어 있다면 ... ...
- 우리 동물원, 어떻게 고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평가 항목은 환경부에 서 만드는 중”이라며 “동물을 관리하는 사육사나 수의사 같은 전문인력의 수나 동물원이 활용 할 수 있는 예산도 평가항목에 포함 될 수 있다”고 말했어요. 허가 기준이 마련되면 앞으로 검사관이 직접 방문해서 동물원을 평가할 예정입니다. 마 교수는 “수 천 종이 넘는 ...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한국 기상청을 포함해 영국, 중국, 호주 기상청 등 전 세계 16개 기관이 참여하는 기상학 전문기구인 세계기상기구(WMO)는 5월 3일 기준, 엘니뇨가 5~7월 발달할 가능성을 약 60%로 전망했다. 여기에 더해, 보다 강력한 엘니뇨를 뜻하는 ‘슈퍼 엘니뇨’를 예고한 연구자도 있다. 딥러닝 기반 엘니뇨 예측 ... ...
- 팩트체크5.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아 해저에 축적된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것은 바닷물의 상층부에서 방사성 물질이 제거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팩트체크❶방사성 원소가 무겁다고 반드시 바다 아래로 가라앉는 것은 아니다. 표층과 심해에서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거의 같다.❷드물게 입자에 붙어 심해로 가라앉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바다 ... ...
- 팩트체크7.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오를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없을 때 방류를 하는 것이 국민들의 불안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 팩트체크❶광어를 후쿠시마 오염수를 정화한 처리수에 키웠을 때 삼중수소의 축적이 주변 바다의 농도 이상 오르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❷벨기에의 한 연구팀은 정화되지 않은 오염수를 1년 동안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건 아닙니다. 아직 언급하지 않은 20%도 그 역할을 확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이 20%가 충족되지 않으면 유전자가 아무리 좋아도 소용이 없다고 말합니다. 이해상 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물론 환경 요소도 키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만성 빈혈, ... ...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개발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한국에서도 CJ 바이오사이언스, 유한양행 등 여러 제약사와 전문기업들이 장내미생물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장내미생물 기반 맞춤형 의료 가능하려면 2015년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의 에란 세갈 박사팀은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 식생활 ...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팩트체크7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 결과는 7월 초에 발표될 예정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작년 2월부터 지난 6월까지 전문가를 파견해 방류계획과 설비를 검증했다. IAEA의 최종 보고서는 7월 초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IAEA의 최종 보고서에 특이사항이 없다면 일본은 7월 중 방류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6월 16일 기준) ... ...
- 팩트체크3. 일본의 오염수 방류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사건이고 재앙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새로운 체계가 연구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 팩트체크❶일본 자료에서 정화처리시설 배출구의 방사성 물질 농도는 삼중수소 제외 모두 기준치 이하였다. 계획대로 희석한다면 음용수 기준까지 만족하는 물이다.❷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인류에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헛발질을 거듭하고 있다. 동양하루살이 방제를 취재할 당시, 기자와 이야기를 나눈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곤충이 대발생한 자리에 강도 높은 방역을 하는 건 오히려 다음 대발생을 불러오는 격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사람이 사는 영역까지 내려온 곤충을 그냥 내버려 두자는 말이 아니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