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캐고 지질학자]강 따라 흐른 용암의 흔적을 찾아라!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빠진 증거를 찾아라!과거에 용암이 옛 한탄강을 따라 흘렀다는 지질학적 증거는 여러 장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용암이 한탄강물 속을 따라 흐르면서 만들어진 경기도 포천시의 ‘아우라지 베개용암’입니다. 한탄강 건너에서 바라보면 거대한 주상절리 절벽 아래로 현무암 덩어리가 ... ...
- [수학뉴스] 무더위 쉼터, 어디에 몇 개 만들어야 할까?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최소로 할 수 있을까요? 그 답을 수학으로 찾았습니다. 권상진 UNIST 산업공학과 교수팀은 장소의 조건에 따라 무더위 쉼터의 최적 위치와 적정 개수를 찾는 수학 모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반 클라이밋’ 7월 6일자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먼저 울산광역시 남구를 대상으로 조사했습니다. ... ...
- 바다 거북의 날갯짓이 이어지도록 "또시 옵서양”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등지에서 오랜 기간 머물며 신호를 보내는 바다거북도 있다. 바다거북의 집단산란장소로 잘 알려진 지역이다. 김 전임연구원은 “같은 지역에서 오랫동안 신호를 보낸 이유는 아마 알을 낳았기 때문일 것”이라며 “방류한 바다거북이 야생 개체 수 회복에 잘 기여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했다.안 ... ...
- [특집] 노키즈존, 헬린이, 잼민이? 어린이는 지금도 차별받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내용의 결정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식당은 어린이에게 해로운 장소가 아니고 모든 어린이가 다른 손님에게 큰 손해를 끼치지 않으며, 반대로 무례한 행동으로 폐를 끼치는 어른도 있다”고 말했어요. 그런데도 어린이만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는다면 일부 사례를 합리적 이유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5화. 혜성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데는 없어 보였습니다. 딱지는 조금씩 움직이는데도 온몸에서 땀이 흘렀습니다. 설치 장소에 도달하는 데만 한 시간이 넘게 걸렸습니다.“하아, 도착했습니다.”“잘했어. 이제 폭탄만 설치하고 돌아오면 돼.”딱지는 루띠가 알려준 대로 폭탄의 아랫부분이 혜성을 향하도록 표면 가까이 갖다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1화.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촬영지로도 유명합니다. 관광객이 아주 많이 찾아오는 이유기도 하지요. 가장 유명한 장소로는 영화 속 호그와트 식당 촬영지로 유명한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 식당과 호그와트 병동으로 촬영됐던 보들리안 도서관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영화 엑스맨 시리즈의 찰스 자비에 교수가 영화 설정상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커다란 팽나무가 있었어요. 절 키워준 나무기도 해요. 친구들과 모이는 장소도, 숙제하는 장소도, 책 읽는 곳도 모두 팽나무 밑이었죠. 그러다 정월 대보름이면 팽나무에 새끼줄을 두르고 마을 제사를 지냈어요. 팽나무에 소원을 빌면 들어줄 거라는 할머니의 말씀을 듣고, ‘신을 만나는 방법 중 ... ...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열리는 날이라 바쁘셨을 텐데도 말이에요. 그렇게 만난 회장님은 조용히 이야기할 장소로 기자들을 직접 데리고 가서 ‘허준이 교수님 필즈상 수상 이유’에 대해 의미 있는 이야기를 들려줬습니다. [PM 5:30] 모델 아니세요? 허준이 교수님은 직업을 하나 더 추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바로 ...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수님은 1시 20분경 진짜 나타났고, “헥헥. 갈까요?”라며 곧바로 현장 연결 장소로 향했습니다. 계속되는 취재로 지쳐 보였지만, 물 한 모금을 마신 뒤 “안녕하세요!”라며 독자들을 향해 밝게 웃어줬어요. “수상 소감 짧게 부탁합니다”라는 요청에 “하하, 길게도 가능합니다!”라는 ...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달이라도 지역에 따라 흙의 성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장소는 유독 우주방사선 노출이 많은 지역이다. 각 식물을 키우는 데 쓰인 달 겉흙은 모두 1g 미만이었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지구의 화산재로 달 겉흙처럼 만든 모사 토양을 준비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달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