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임의"(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에게 기쁨을 주는 숫자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배출한 나라카프리카는 ‘카프리카 상수’도 정의했다. 모든 자릿값이 같지 않은 임의의 세 자리 혹은 네 자리 수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빼는 과정을 반복할 때 수렴하는 수를 말한다. 특정한 방식이란, 주어진 수의 자릿값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에서 가장 작은 수를 빼는 것이다. 예를 들어, 21 ... ...
- [현장취재➋] 수학동아 레고카페, 레고와 수학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각도를 찾아내는 것이다. 하지만 책상의 길이를 잴 수 없었던 일부 독자들은 회전각도를 임의로 설정해서 바퀴가 굴러가도록 했다. 그리고 절벽에서 떨어지는 마인드스톰을 받아서 추가로 몇 바퀴가 더 돌아가는지를 확인하고, 그만큼 회전각도를 줄이는 방법을 이용했다. 저마다 상황에 맞게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가지는지 표준모형 안에서는 설명할 길이 없다. 또한 힉스 입자 자체도 표준모형에 다소 임의적으로 도입됐다. 그래서 힉스 입자의 질량이 어떤 값을 가져야 하는지도 표준모형 안에서는 알 길이 없다. 그리고 표준모형에서는 중력을 설명할 수 있는 틀이 전혀 없다. 이는 현대적인 중력이론인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먹었다. 주리는, 그리고 모든 양자의 아이들은 현실을 고스란히 기억해야 한다. 그걸 임의로 변경하고 삭제한다면 나는 양자사기꾼들과 다를 바가 없게 된다.“조금 물러서주렴. 순간이동 확률을 최대한 높여야 하니까.”아빠, 돌아오실 수는 있는 건가요? 주리는 그렇게 묻고 싶었을 것이다. 하지만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이해할 수 있는 그림도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그림➊은 원 모양의 피자 내부의 임의의 한 점에서 45° 각도로 잘라 피자를 8조각으로 나눈 것이다. 그러면 이때 서로 이웃하지 않는 조각 즉, 분홍색 부분의 넓이 합과 노란색 부분의 넓이의 합은 서로 같다.그런데 이 사실을 어떻게 확인할 수 ...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여 주고 싶어서 이 교구를 만들었어요.사용법은 간단해요. 칠판 위에 좌표평면과 임의의 직선을 그리고 자석이 달려 있는 이 대칭패드를 붙여요. 대칭패드의 아크릴 판에 점을 찍은 후에 판을 뒤집기만 하면, 그 직선에 대해 대칭인 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어요. 김태형(3학년)작년에는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닫힌 곡선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홀수 개다.이번에는 도형의 안과 안, 밖과 밖에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어 보자. 이 직선이 닫힌 곡선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언제나 짝수 개가 나온다. 미로를 만났을 때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직선을 그어 홀수 개의 점이 나오면, 출발점과 도착점이 서로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붕괴가 커지고 있습니다. 우선 가장 가까운 안전 지대로 비상 이동하겠습니다. 우주선이 임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 코드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열쇠는 다음과 같습니다.”그러더니 화면에 괴상한 암호가 나타났다. 폴은 황당한 얼굴로 우주선에게 소리를 질렀다.“우주선! 이런 위급한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식이다. 구체적으로, 1부터 차례대로 양의 정수에 역수를 취한 다음, 각각의 수에 S(임의의 복소수★) 제곱을 한다. 그리고 모든 수를 더한다.그런데 이 식에 어떤 수를 곱하고 빼서 변형하면 모든 소수로 이루어진 식으로 바꿀 수 있다. 즉 제타함수는 모든 정수와 모든 소수를 연결하는 불가사의한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한 공간에 두거나, 인간 스스로 새로운 바이러스 활동구역으로 들어가면서 활동구역을 임의로 뒤섞기 시작했다. 분명한 것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이 점점 더 잦아질 것이란 사실이다. 인류와 바이러스의 전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이다.정용석_ysjeong@khu.ac.kr미국 텍사스-오스틴대에서 바이러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